•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물관과 관람객의 상호 소통 증진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스마트폰 앱을 중심으로 (Service Design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Efficacy between Museums and Visitors : Focused on Smart-phone Application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3.11
26P 미리보기
박물관과 관람객의 상호 소통 증진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스마트폰 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26권 / 4호 / 154 ~ 179페이지
    · 저자명 : 이민아, 김원택

    초록

    연구배경 21세기 들어 박물관은 대중의 예술 문화 참여와 체험을 위한 장소로서 그 역할과 기능이 커지고 있다. 지난 10여 년간 대중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라는 명목으로 국내에 많은 박물관들이 건립되었지만 질적인 면이나 시스템 부분에서의 투자 및 관리 부족으로 대다수의 박물관들이 높아진 대중의 지적 문화적 기대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관람객들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시 소통매체를 적절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어 관람객들의 문화예술 향유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에 관람객과 전시 제공자 사이의 양방향 소통과 만족도 증진을 위해 현재의 전시소통매체가 어떻게 쓰여야 효과적일지 조사 분석하여 개선안을 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박물관과 관람객 사이에 관람 전, 관람 중, 관람 후 전 과정에서 효과적 양방향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으로 접근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박물관에서 제공하는 소통매체로서 텍스트, 도슨트, 해설기(PDA), 가상박물관, 웹사이트, 스마트폰앱의 운영 현황을 선행 학술자료와 현장 방문을 토대로 분석해 보았다. 타겟 관람객과 뮤지엄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진행 후, 소통과 관람 만족도 증진을 위한 양측의 주요 요구사항(Key requirement)을 분석하고 개선된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통해 소통매체 중심의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관람객과 전시물의 상호작용은 정보의 일방적 제공이 아닌 관람객의 적극적 참여에 의해 배가된다는 측면에서 상호 소통에 초점을 맞춘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물은 사용자에게 혜택을 주는 부가서비스와 선택적 전시 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앱, 정보의 전문성과 감성적 소통기능이 활성화된 웹사이트, 연령 수준별로 관람객들에게 맞춤으로 제공되는 도슨트가이드로 요약할 수 있다 . 특히, 스마트폰앱은 UX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 컨셉추얼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구체적 이미지 결과물을 제안하였다.
    결론 전시 관람 전후를 포함한 전과정에서 박물관과 관람객 사이에 상호소통이 단순한 정보교환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면 관람객들의 만족도를 높일 뿐 아니라 문화소통의 핵심 장소로서 박물관의 중요도가 더욱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박물관에서 제공하는 직접적인 서비스 영역 뿐 아니라 박물관 전시에 대한 실질적 정보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인터넷상의 전시 소통 매체를 어떻게 설계하는가에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에서 촛점을 맞춘 것은 박물관과 관람객의 양방향 정보 교환을 넘어선 소통의 확장이다. 이러한 다각도의 소통활성화는 향후 박물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되는데 기여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일반 대중의 문화예술 향유 증진, 우리나라의 문화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Over the last ten years, many museums in Korea have been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public's enjoyment of art culture. Given the lack of systematic investment and management quality, however, the museums have generally failed to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general public. A critical area of weakness has been the interface with museum visitors, as exhibits often have insufficient interpretation and multi-media suppor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exhibition communication media and make recommendations for enhanced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museums and visitors.
    Methods We investigate whether museums and their visitors efficiently communicate at three different points (before, during and after their visit) through service design methods. We examined communication media including brochures, docent guides, explanation-devices (PDA), cyber museums, web-sites, and smart-phone applications, and evaluated the efficacy of communications on the basis of previous academic investigations and the museum-visit. After in-depth interviews with target visitors and curators, we analyzed the key requirements of each group for communication and exhibition-satisfaction and made a recommendation through a developed service blueprint.
    Results We propose recommendations focusing on a mutual communication approach, in which the interaction between museums and visitors can be doubled not only by providers' one-sided offer, but by visitors' active participation. The recommendation includes distinguished information-providing smart-phone applications emphasizing beneficial services to users and time and space-saving advantages, websites with activated and specialized academic and communication functions, and tailor-made docent guides combined with multimedia according to participants' ages and preferences. Especially, we suggested concrete images of smart-phone applications by producing a conceptual prototype according to the UX design process.
    Conclusion We expect that effec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hroughout the museum visit process without spatial and time limitations can augment visitors' satisfaction. This will be affected by not only the conventional service provided, but also because of how invisible service is designed by Internet-based information systems. We believe that service design integrating several stakeholders' requirements will drive a gradual increase in the quality of museum service,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general public's enjoyment of Korean art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