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항면세점 이용객의 혼잡도 인식이 쇼핑감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Crowding on Shopping Emotion of Customers at Airport Duty-Free Store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6.07
25P 미리보기
공항면세점 이용객의 혼잡도 인식이 쇼핑감정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통학회
    · 수록지 정보 : 유통연구 / 21권 / 3호 / 1 ~ 25페이지
    · 저자명 : 최건희, 이승창

    초록

    본 연구는 공항면세점을 대상으로, 공항면세점 이용객의 혼잡성에 대한 인식수준에 따른 고객행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선행요인으로는 개인적 요소 및 환경적 요소로서 쇼핑성향, 물리적 환경, 사전기대, 관여도 등 4가지를 설정하였고, 고객의 혼잡도 인식은 인적, 공간적 혼잡의 차원으로 나누었으며 이들 간의 영향에 따른 고객의 감정반응과 행동의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쇼핑성향, 물리적 환경, 사전기대, 관여도 등의 변수들이 고객의 인적, 공간적 혼잡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이러한 혼잡이 고객의 감정반응에 영향을 미치며, 감정반응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인천공항과 제주공항 등의 공항면세점에서 구매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최종 312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쇼핑성향, 물리적 환경, 사전기대, 관여도가 인적 혼잡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지지되었으며, 공간적 혼잡에 있어서도 쇼핑성향, 물리적 환경, 사전기대 및 관여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적, 공간적 혼잡이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반응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련 가설 또한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ABSTRACT In recent years, sales in airport duty free stores have expanded tremendously due to the rapid growth of domestic and foreign customer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have influenced the behavior and emotional state of shoppers. For example, when customers feel crowded, their shopping experience becomes negative, leading to overall customer dissatisfaction.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 in customer behavior by their level of perceived crowding at airport duty free stores.
    Precedence factors of perceived crowding are shopping propensity, physical environment, pre-expectation about service, and the involvement level. Perceived crowding is a mediating factor with two dimensions, human and spatial perceived crowding; and the consequence factors from perceived crowding are shopping emotions and behavior intentions.
    First, hypotheses 1.1 – 4.2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edence and mediating factors. It is hypothesized tha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hedonic shopping propensity and the two dimensions of perceived crowding; whereas each of the other precedence factors (i.e., physical environment, pre-expectation about services, and involvement level) is expected to positively influence perceived crowding. Hypotheses 5.1 – 6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ting (i.e., the two dimensions of perceived crowding) and consequence (i.e., shopping emotions and behavior intentions) factors.
    The study hypothesizes that the two dimensions of perceived crowding positively influence negative shopping emotions, which in turn lead to negative behavioral intentions.
    <Figure 1> shows shopping propensity, physical environment, pre-expectations, and involvement each influencing the two dimensions of perceived crowding, which then affect the shopping emo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customers at airport duty-free stores.
    We collected data on 312 customers who have shopped at airport duty-free stores in South Korea, such as those in Incheon and Jeju International Airports. All measurement scales us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dapted from prior research to fit the research model. We examined the frequency, reliability, validity, and model fit and conducted a path analysis using SPSS and AMOS. Extant research on perceived crowding mostly focus on downtown shopping malls.
    The current study, on the other hand, is unique in that it addresses the effects of perceived crowding on the emotions and behaviors of shoppers at airport duty-free stores.
    Empirically, the fit indices demonstrate a good fit of the model to the data (χ2=751.850, χ2/df=2.258, RMSEA=0.064, NFI=0.919, RFI=0.908, IFI=0.953, TLI=0.947).
    <Table 1> shows that the CR (composite reliability) and AVE values for all the indicators in the model are greater than the recommended threshold values of 0.7 and 0.5, respectively.


    Consistent with prior research findings and our expectations, results of SEM<table 2> indic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effects of shopping propensity, physical environment, pre-expectations and involvement level on perceived human and spatial crowding.
    Also, crowding perceptions significantly affect shopping behavior intentions via emotions.
    We discus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통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