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섬, 풍요의 공간 - 19세기 중반 한 유배객의 임자도 생활 - (An Island, Space of Richness -an Exile’s Life at Imjado Island in the mid-19th centur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3.08
30P 미리보기
섬, 풍요의 공간 - 19세기 중반 한 유배객의 임자도 생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43권 / 233 ~ 262페이지
    · 저자명 : 정진영

    초록

    대개의 경우 조선시대의 섬은 ‘절해의 고도’, ‘궁벽한 섬’ 쯤으로 이해된다. 그래서 섬사람들의 학문이나 문화적 수준은 말할 것도 없고, 정치ㆍ경제적으로도 소외됨으로써 그 일상의 삶이란 극히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조선시대 19세기 중반기의 상황은 이와는 크게 달라져 있었다.
    이 글은 19세기 중반기의 섬의 형상을 재구성하는 것을 그 일차적인 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그리고 검토의 주된 시기는 19세기 중반이다. 이 시기 삼남의 농민들은 삼정문란의 모순과 고통 속에 내몰려져 있었다. 그러면 섬의 일상은 어떠했을까? 이것이 이 글의 두 번째 관심사이다. 한편에서는 ‘19세기 위기론’이 강하게 주장되고 있다. 그렇다면 임자도와 그 인근에서는 그 ‘위기’가 어떤 모습으로 형상화 되어 있을까? 이 또한 이 글의 관심사 밖으로 두기에는 아쉬운 부분이었다. 이 논문은 ‘임술민란’의 단초를 연 ‘단성민란’을 이끌었던 金欞의 유배일기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유배길과 유배생활 또한 결코 외면할 수 없는 문제였다.
    아무튼 우리는 김령의 유배일기, 『艱貞日錄』을 통해 삼정문란의 모순ㆍ고통이나 위기의 징후들을 볼 수 없었다. 도리어 경제적 풍요와 문화적 渴求가 보다 더 크게 보였다. 술과 안주와 고기만이 아니라 사람들이 모여들고 있었고, 유생도 서당도 즐비했다. 모순의 질곡이나 위기의 황폐함보다는 도리어 희망과 활력이 더 크게 보였다. 그러나 이 같은 희망과 활력이 어디에서 오는 것인지는 밝혀내지 못했다. 어쩌면 그것은 실상이 아니라 유배객 김령의 눈에 그렇게 보였는지도 모른다. 풀어야 할 많은 문제들을 남겨둔 셈이다.

    영어초록

    In most cases, an isl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is understood as something like a ‘mid-oceanic island’, and a ‘secluded island.’ Accordingly, people think an islander’s daily life might be in an extremely poor environment due to political, economic alienation, still less their cultural level. However,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he mid-19th century Joseon Dynasty became greatly differentiated from this.
    This writing is intending to make the re-composition of the form of islands in the mid-19th century as a primary purpose. In addition, in that the main period for a review is the mid-19th century, what would have been the daily routine of an island if the farming folk in three south provinces had been kicked out onto the contradiction and suffering of the disorder of three tax systems? This is the writing’s secondary matter of concern. Some strongly argue ‘the 19th Century Crisis Theory.’ If so, in what shape were the ‘Crisis’ at Imjado Island, and its neighborhood embodied? This matter was also a regrettable part to leave outside this writing’s interest.
    Notwithstanding such an interest, we couldn’t see through any symptoms of the contradiction, suffering or crisis of the disorder of three tax systems. On the contrary, economic richness and cultural thirst were seen much bigger in our eyes. Not just wine and some eatables were there, but people were flocking, and confucian scholars and seodang were lining the streets. Rather than the fetters of a contradiction or devastation of a crisis, hopes and vitality were highlighted more. However, we failed to unearth from where the hopes and vitality like this came. That means lots of problems still remain unsol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