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정 개인정보보호법과 GDPR의 투명성원칙 및 동의절차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구글의 GDPR 위반 사건과 홈플러스 사건 비교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Revis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GDPR's Transparency Principle and Procedure for Consent - comparing two cases : Google's violation of GDPR and Homeplus's violati)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0.12
30P 미리보기
개정 개인정보보호법과 GDPR의 투명성원칙 및 동의절차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구글의 GDPR 위반 사건과 홈플러스 사건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원광법학 / 36권 / 4호 / 53 ~ 82페이지
    · 저자명 : 이주희

    초록

    유럽연합은 2018. 5. 부터 개인정보보호법(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이하 ‘GDPR’)을 전면 시행하고 있다. GDPR이 제정된 직후 유럽의 개인정보보호단체들은 글로벌 기업들에 대하여 GDPR을 위반을 근거로 각종 진정을 제기하였다. 이 중 주목할 만한 사건은 프랑스의 프라이버시 보호협회인 None Of Your Business (NOYB) 와 La Quadrature du Net이 프랑스의 정보와 자유에 관한 국가위원회인 CNIL(Commission nationale de l'informatique et des libertés)에 구글의 프라이버시 정책과 개인맞춤형 광고 문제를 진정한 것이다.
    2019. 1. 21. 경 CNIL은 구글이 개인정보보호원칙 중 투명성의 원칙과 개인 맞춤형 광고 동의 절차를 위반하였음을 인정하여 5000만 유로(한화 약 642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였다. 구글은 불복하여 항소하였으나, 프랑스 항소법원은 2020. 6. 20. 경 구글의 항소를 기각하였다.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을 입법하는 과정에서 가장 많이 논의된 규정은 유럽의 개인정보보호법(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이다. 이 때문에 GDPR이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다. 그러나 실제 GDPR이 적용된 결정문을 꼼꼼히 살펴 GDPR에서 말하는 개인정보처리원칙과 동의절차의 적법성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관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CNIL이 2019. 1. 21. 구글에 과징금 5000만 유로를 부과한 케이스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GDPR의 개인정보처리원칙 중 투명성의 원칙을 중심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할 때의 동의절차에 대한 판단의 기준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GDPR의 투명성 원칙 및 동의절차에 관한 기준이 개인정보보호법의 법률해석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우리나라의 홈플러스 사건과 비교하여 살핀다. 두 판결의 비교를 통하여 개정 개인정보보호법 시행 이후 투명성의 원칙 및 동의절차의 적법성을 확립하는 기준을 정립하고, 개인정보처리자가 정보주체에게 제시하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항목의 내용과 동의하는 방식이 투명성의 원칙에 입각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위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던지는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은 GDPR의 개인정보보호원칙 중 투명성의 원칙과 어떻게 상응하고 있는가? 둘째, 개정 개인정보보호법 및 GDPR의 개인정보처리의 동의절차는 적법성을 어떻게 확보하는가? 셋째, 구글 GDPR 위반 과징금 사건와 홈플러스 사건의 비교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연구의 범위는 개정 데이터 3법 중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에 한정하였다. 개인정보보호법이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제의 가장 중심이기도 하고, 개정 데이터 3법 중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중 일부는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에 흡수되는 방향으로 정립되었으며,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또한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해석의 기준을 개인정보보호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르기 때문이다그리고 개인정보처리원칙 중에서도 개인정보보호법 제3조 제1항에 상응하는 GDPR의 투명성의 원칙을 중점적으로 살핀다. 구글 GDPR 위반 케이스는 투명성의 원칙을 바탕으로 판단하였고, 비교 대상이 되는 홈플러스 사건 또한 투명성의 원칙을 적용한 판시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European Union has enforced the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 from May 2018. After the GDPR was enacted, European privacy organizations have filed various complaints against global companies for violating the GDPR. Privacy protection associations such as None Of Your Business (NOYB) and La Quadrature du Net complained to Commission nationale de l'informatique et des libertés(CNIL) about Google's privacy policy and personalized advertising issues.
    In January 21, 2019, France’s data protection regulator, CNIL, has issued Google a 50 million euros fine for failing to comply with its GDPR obligations. Google has filed appeal to a higher court, but France’s top court has dismissed Google’s appeal on June 20, 2020.
    The most widely-discussed regulation in the process of enacting the revised privacy law is the European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GDPR). For this reason, research on the impact of the GDPR on the revis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has been actively discussed. However, there is a little study on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legality of consent procedures that are discussed in GDPR are applied in real cases.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CNIL imposing a penalty of 50million Euros on Google cases on January 21, 2019. With this study, the research will clarify the criteria for judgement on the procedure for privacy data collectiong consent based on GDPR’s transparency policy. Furthermore, by comparing the Google case with the legal case of Homeplus in Korea, it further examines a possible way that the GDPR's transparency principles and procedure for consent can be affected to legal interpret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ith this comparative study results, this paper will not only set the criteria for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and procedure for consent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revis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but also argue that the data controller should collect and use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The research will focus on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in below: First, how does the revis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correspond to the GDPR's transparency principles? Second, how does the revis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GDPR's procedure for consent ensure the legality? Thir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Google case and the legal case of Homeplus in Korea?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revis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mong the Three Data Acts. In addition, among the principles of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the study focuses on the GDPR's transparency principles. This is because the Google case is judged based on the GDPR's transparency principles, and the legal case of Homeplus in Korea also shows a judgment that applies the transparency princi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광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