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난현장 소방공무원의 안전관리 강화 방안 - 전국 7개 광역시·도 소방공무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Enhancement Plans of Safety Management of Firefighters at a Disaster Site - Focused on Recognition of Firefighters of 7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5.05
26P 미리보기
재난현장 소방공무원의 안전관리 강화 방안 - 전국 7개 광역시·도 소방공무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 수록지 정보 : Crisisonomy / 11권 / 5호 / 69 ~ 94페이지
    · 저자명 : 유현희, 전병순, 이주호, 양기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 현장에서 소방공무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소방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직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수준 그리고 안전관리 대책에 대한 인식을 실증분석 하여 구체적 대안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할 때, 첫째, 재난현장에서의 소방공무원의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개인 수준에서는 안전사고에 대한 교육필요성에 대한 인식제고가 필요하다. 또한 안전행동 수준을 고려할 때, 소방공무원의 현장대응 사전 대비체계의 강화 및 안전관리 지침 사항 및 장비사용 등에 대한 집중적 관리가 요구된다. 아울러 안전관리 평가시 소방인력의 확충, 장비의 개선과 함께 실제 안전관리 교육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을 설계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둘째, 집단별로 연령, 경력수준, 직급 등을 고려할 때 소방사 등 하위직에 있어서는 안전사고의 사전예방 가능성을 인식시키고 안전관리 교육의 중요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반면, 중간 계급의 소방장에 있어서는 평상시 안전관리 태도를 제고하는 방안 등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셋째, 응답자의 비율 등을 고려할 때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뚜렷하지는 않았으나 숙련도 측면에서 여성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재난현장의 위험요인에 대한 사전 숙지와 소방장비 매뉴얼 및 주의사항 등의 숙지 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안전사고 예방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현장중심의 소방활동과 행정업무를 엄격히 분리하여, 현장중심의 대응역량을 온전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소방공무원의 안전관리를 위한 전담부서를 설치하여 지속적인 건강관리 및 안전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pare safety accidents of firefighters at the disaster site and to explore policy measures that can be made fire-fighting activities in a safe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empirically analyze the recognition of the safety consciousness, safety behavior and safety management measures of the firefighters. The results of a comprehens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firemen of the individual level at the disaster site, the awareness-raising of the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for is required. In addition, considering the safety behavior level, firemen have to manage intensively reinforcement of field response proactive systems,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and the use of safety equipment, etc. And when we evaluate safety management, we need to consider a measures such as fire personnel expansion, equipment improvement, and plan to design education and training so that you can experience real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r safety management. Second, considering each age group, career level, and position and so on, junior ranks such as fire fighter and senior fire fighter need to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preparedness in accidents and to promote the importance of safety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fire sergeant of the middle class need to enhance attitude of safety management at ordinary time. Third, considering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re not clear. But in terms of skills, women firefighters need to be well-acquainted with risk factor of the disaster site and to find ways to strengthen the prevention of accidents by grasping the problems of pre-read processing manuals of fire equipment and precautions. Finally, field centered response capacity by strictly separated the firefighting and administrative work is fully keeping and need to reinforce sustainable healthcare and safety management of firemen by installing dedicated depart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risisonom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