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품질경영시스템의 척도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ISO9001:2015 개정판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Scale Development of QMS : Focusing on the ISO9001:2015 revis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7.10
29P 미리보기
품질경영시스템의 척도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ISO9001:2015 개정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30권 / 10호 / 1725 ~ 1753페이지
    · 저자명 : 이철우, 윤상흠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ISO9001:2015 개정판을 기반으로 미 국가품질상과 유럽 국가품질상 및 기타 ISO 경영체제, 그리고 기존의 ISO9001 2000/2008버전의 개별 항목과 과거 문헌들을 대상으로 초기 전체항목을생성하여 품질경영시스템(QMS)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 ISO 선행연구들은ISO기준 확정이후 사후 확인차원의 연구가 대다수였으나 본 연구는 사전 확인차원의 연구로 품질경영체제의새로운 패러다임을 반영하고 있는 2015개정판에 입각하여 기업에게 효율적인 품질경영시스템을 진단할 수있는 표준척도를 제시해 보고자하며, 이를 통해 기업이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할 때 우선순위 선정과자가 진단하고 분석하기 위한 엑스레이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제공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체 Pool을 대상으로 초기 항목생성과 측정문항간 Matrix를 개발하여 제시하고각 요건별 효과적이고 체계화된 척도개발(Scale development)을 위해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전 과정에 지표를제시함과 동시에 현장의 전문가 목소리를 반영시키기 위한 정성적·정량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은 첫째, 초기 항목생성을 위해서 2015개정판의 주요조항과 2000/2008버전, 기타 국내·외 국가품질상, 그리고 QMS 주요조항과 비교 분석하여 초기 Pool을 생성하였다. 둘째, 초기 생성된 평가항목을 정제하기위해 도구개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내용타당도와 문항난이도 분석 및 주성분 분석을 활용한 요인분석을실시하였다. 셋째, 평가자와 측정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평가자간 동의수준 분석과 코헨카파지수를 통해서 재현성평가를 실시하였다. 끝으로 구조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1단계에서는 확인적요인분석(CFA)을 통해 측정모형을 분석하고 2단계에서는 반영지표(Reflective indicator)를 토대로 1차요인과2차요인간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Cohen's Kappa 프로그램, SPSS 22.0버전, AMOS 18.0버전의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직의 상황 4개항목, 리더십 4개항목, 기획 4개항목, 지원4개항목, 운영 4개항목, 성과평가 3개항목 및 개선의 3개항목을 개발하여 최종 26개 측정문항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riteria to evaluate Quality Management System (QMS) by generating initial overall items, targeting other ISO management system, such as, U.S.
    Malcolm Baldrige National Quality Improvement, European Foundation for Quality Management based on a new ISO9001:2015 revised version, and targeting individual items of existing ISO9001 2000/2008 version and past literatures. And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 standard that can diagnose effective and efficient Quality Management System to companies based on a revision, which reflects a new paradigm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as existing advanced ISO studies were mostly the research in level of post confirmation after ISO Standard confirmation, and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develop and provide a tool that can play a role of X-ray required to self-diagnose and analyze selection of priority when a company introduces a new system and where there is a problem.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Matrix for initial item creation and measurement items for all Pools, and suggest a procedure to develop measurement tools for effective Scale development in each condition, and also analyzed by adding and using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reflect the experts' voices in the field. First, for creation of initial items, this study examined advanced studies judged to have great relevance to other domestic and overseas national quality awards and main items of QMS including main provisions of 2015 revision and QMS 2000/2008 version, main items of EFQM and MB. Second, this study suggested a scale tool development process in order to refine deducted evaluation items, and analyzed contents validity, questions difficulty level, and executed Factor analysis. Third, in order to analyze validity of appraiser and measuring questions this study executed reproducibility analysis through agreement level analysis and Cohen‘s Kappa index among appraiser. Fourth, in order to reflect voices on scenes this study executed case studies by using expert group. Lastly, at 1st stage for analysis of Structural validity this study analyzed a measuring model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t 2nd stage executed significance test between 1st factors and 2nd factors based on reflected index model. For analysis of data this study used Cohen‘s Kappa statistical program AMOS18.0, SPSS22.0. The verification of Structural validity is First, based on the 2015 revised edition, other national systems, previous researches, literatures, and as for the number of items that are initially generated were the total of 405 items. Second, the item difficulty(P) and the Contents Validity Index(CVI) were analyzed based on the number of items initially generated, and the number of items satisfying the item difficulty(P) and the Contents Validity Index was reduced to 89. Third, Factor loadings represent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and factor, and this study checked that it is being grouped with seven facto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rimax rotation. As a result the number of items measured was reduced to 46. Fourth, Structural validity analysis was analyzed through the alignment process with six processes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items measured was reduced to 36. Finally,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r case studies. This study deleted the 10 questions of the inappropriate items raised with opposing opinions by examining the status of respondents by latent variable and the holding rate for the inadequate or proper item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final 26 questions after developing 4 questions of Contexts of the Organizational, 4 questions of Leadership, 4 questions of Planning, 4 questions of Support, 4 questions of Operation, 3 questions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3 questions of Impr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경영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