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혁개방기 중국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농민’ 정체성 (The Identity of ‘Peasant’ Appearing in Korean Chinese Novels during Reformation Opening Period)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2.08
30P 미리보기
개혁개방기 중국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농민’ 정체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50호 / 537 ~ 566페이지
    · 저자명 : 차성연

    초록

    본고는 그동안 쉽게 접할 수 없었던 1990년대의 중국조선족 작품을 중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민족정체성이 농민정체성과 혼융되어 나타나는 양상을 중국조선족 문학이 지닌 한 특성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중국조선족에게 ‘농민’으로서의 정체성은 이주의 배경이자 근거이며 정주의 토대였다. 따라서 ‘농민’ 정체성을 통해 소수민족으로서의 존립 근거를 설명하거나 민족적 기원을 구성하려는 시도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볼수 있다. 중국이라는 사회주의 국가체제에 적응하고 복무하기 위해 ‘농민’으로서의 계급 계층적 인식을 가지고 일정한 역할을 해왔으며 개혁개방기에도 ‘농민’으로서의 정체성을 토대로 당 정책에 대한 비판을 수행해왔다.
    리원길의 <백성의 마음>(1981년)을 보면 농사를 잘 짓기 위해 당 정책을옹호/비판하거나 공동체의 갈등을 심화/무화시키는 양상이 나타나 있다.
    또 같은 작가의 작품 <리향>(1995년)은 농민으로서의 지위가 위협받으면서그에 대한 아쉬움과 회한을 드러내고 있다. 농촌의 해체나 농민적 삶의 몰락은 조선족 사회 전반의 위기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이어서 도시화에따른 농촌의 해체와 농민의 몰락을 다루는 소설이 다수 생산되고 있다. 권운의 <황소>(1999년)나 리혜선의 <어랑할미백세 일화>(1992년)와 같은 작품들은 개혁개방기를 맞아 빠르게 변화해가는 세태 속에서, ‘농촌’을 도시와 대립되는 전통의 공간, 훼손되지 않은 순수의 공간으로 표상하고 있다. 이는 도시에서 근대화의 속도를 따라가기 위해 방출해야 했던 심리적 잉여를 ‘고향-어머니’의 심상공간에 투사하고 이를 통해 훼손된 심리를 위로․보상받고자 하는 심리적 기제로 설명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중국조선족소설은 ‘농촌’을 과경소수민족의 역사가 함축된 공간으로 설정함으로써 한민족적 ‘전통’을 담지한 특수성의 공간으로 표상하고 있다. 특히 소, 개,고양이와 같은 동물 상징을 활용해 조선족의 역사를 신화화하려는 경향도찾아볼 수 있었다.
    한민족적 특수성에서 ‘농민’정체성이 가지는 의미를 탐구하는 데 있어중국조선족 소설에 발현되고 있는 ‘농민’ 정체성은 소중한 자료적 가치를지닌다. 한민족은 농경민족으로서의 역사적 연원이 깊고, 중국조선족뿐만아니라 연해주나 중앙아시아의 한민족 이주민들도 벼농사 기술의 우수성을토대로 정착에 성공했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본고는 우선 구체적인 작품을 발굴하고 그것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연구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그 소임을 다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ixed aspects of the ethnic identity with the peasant identity as a characteristic of Chinese-Korean literature by analyzing Chinese-Korean literature works in 1990s that we have not been able to access easily.
    To Chinese-Korean, the identity of peasant is the background and base of the immigration and the ground of the domiciliation.
    Therefore, the trials to explain the base of the existence as a minor ethnicity through the identity of ‘Peasant’ or compose the origin of the ethnicity can be considered as natural phenomena. To adapt to and serve for the socialist nation such as China, they have played certain roles with the perception of the class and hierarch of ‘peasant’ and have criticized the policies of the party based on the identity of ‘Peasant.’ In Lee Won-gil’s Mind of People (1981), the aspects of advocating or criticizing the policy of the Communist Party and deepening or nullifying conflicts of the community to produce more in farming. In Leaving Hometown (1995) by the same author showed the regret and sorriness when the status of peasants was threatened. As the dissolution of the farming community or the fall of farmers’ lives can be acknowledged as a threat to the Chinese-Korean community, there have been produced many novels regarding As the dissolution of the farming community or the fall of farmers’ lives. In Kwon Un’s The Bull (1999) and Lee Hye-seon’s Anecdote of Eeoranghalmilbaekse (1992), ‘Rural Villages’ were represented by the traditional space and intact pure space in the contrast with cities during Reformation-Opening period. It can be explained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psychological surpluses that have to be discharged to follow the speed of modernization in the city were reflected to imagery space of ‘Hometown-Mother’ and got the damaged psychology consoled and compensated. Additionally, Chinese-Korean novels set ‘rural villages’as the space where the history of farming minors are concentrated and presents it as the space of the specialty containing the ‘tradition’ of Korean people. There is a tendency to make the history of Chinese-Korean a myth utilizing animal symbols such as bulls, dogs and cats.
    The identity of ‘Peasant’ emerged in Chinese-Korean novels are very meaningful in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the identity of ‘Peasant’ in the specialty of Korean people. The Korean people have a long history as an agricultural people and not only Chinese-Korean but also emigrants in Maritime Province in Russia and Central Asia have succeeded in settling based on the excellence of their rice farming technology. The article tried to explore actual works of Chinese-Korean and analyze the meaning of the works to stimulate further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