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국제사회의 변동과 개화승 이동인의 외교활동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in the 19th Century and the Diplomatic Activities of Lee Dong-in(李東仁), an Enlightened Monk)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2.10
29P 미리보기
19세기 국제사회의 변동과 개화승 이동인의 외교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53호 / 207 ~ 235페이지
    · 저자명 : 석보원

    초록

    최근 20여년간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는 다양한 시각에서 연구되었다. 그 중에는 조선후기 불교에 관해서는 억압과 수취탄압 일변도의 부정적 시각에서 벗어나 긍정적 시각으로 전환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 시각의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조선불교가 박해 받았다는 역사 자체를 부정할 수 없다. 19세기의 조선 역시 이러한 상황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개화승 이동인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국제사회의 변동에 발 빠르게 반응한 불교지식인이다. 특히 그는 조선을 개화시켜 부국강병을 이루고 불교를 부흥시키고자 하였다.
    19세기 중반 중국의 두 차례에 걸친 아편 전쟁과 일본의 메이지 유신 이후 동북아시아는 격변의 시기에 들어섰다. 그리고 조선 역시 이를 피해 갈 수 없었다. 이미 이러한 변화를 발 빠르게 감지했던 개화파는 급진적이든 온건적이든 조선 개국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이 시기 이동인과 같은 개화승들이 출현한 사실을 감안하면 조선 불교계 일각에서도 국제정세의 변화에 대해서 분명히 인식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개화승들의 출현은 조선지식인 사회와 불교계 간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가능하였다. 특히 18세기 중반부터 등장한 경화사족과 추사 김정희 그리고 추사의 제자들은 불교와 깊은 인연을 맺고 있었다. 그 뿐만 아니라 개화파인 박규수, 유대치, 오경석, 김옥균, 박영효 등 여러 조선지식인들도 불교에 심취해 있었다. 이는 조선지식인 사회와 불교계가 지속적인 교류를 하고 있었다는 방증이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등장한 인물이 개화승 이동인이다.
    남아있는 기록에 따르면 이동인은 일본과 외교를 통해 무기를 구입하고 군대의 교관 초빙을 추진하는 등 훌륭한 외교수완을 보인다. 그 뿐만 아니라 이동인은 이러한 외교활동을 통해 근대화에 성공한 일본을 모델로 삼고, 영국을 통해 조선에 충격을 주어 수구파의 자리를 개화파로 대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조선이 근대화로 나아갈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사실들은 이동인이 탁월한 능력과 남다른 시대인식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동인의 능력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부족하고 기성연구 역시 그의 행적을 추적하는 데 그치고 있는데, 이는 그에 대해 남아있는 사료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성연구의 한계에서 벗어나 이동인이 국제사회의 변동에 발 빠르게 반응할 수 있었던 이유와 외교활동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가 가지고 있었던 시대인식을 밝혀내고 개화승으로서 이동인의 업적을 새롭게 재조명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For the past 20 years, the study of Buddhist hist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s been stud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mong them, regarding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as a shift from the negative view of oppression and oppression of takeover to a positive view. However, despite these positive research results, the history it self cannot be denied that Joseon Buddhism was persecuted during this period. Joseon in the 19th century did not change much under these circumstances. Lee Dong-in(李東仁) who is an enlightened Buddhist monk is a Buddhist intellectual who quickly responded to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is historical background. In particular, he tried to enlighten the Joseon Dynasty to achieve prosperous and prosperous and revitalize Buddhism.
    According to the remaining records, Lee Dong-in exhibits excellent diplomatic skills, such as purchasing weapons through diplomacy with Japan and inviting military instructors. In addition, Lee Dong-in took as a model Japan, which had succeeded in modernization through these diplomatic activities, and tried to shock Joseon through Britain to replace the conservatives with the enlightened ones. And through this, Joseon tried to change the direction toward modernization. These facts confirm that Lee Dong-in possesses his outstanding abilities and extraordinary awareness of the era.
    However, despite this ability of Lee Dong-in, the research on him is quite insufficient, and the established research is also limited to tracing his actions, which is also because the remaining historical data about him is insufficient. This study analyzes the reasons for Lee Dong-in’s ability to respond quickly to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contents of his diplomatic activities beyond the limitations of such established studies. And we want to reveal the perception of the times he had and re-examine the achievements of Lee Dong-in as a monk of enlighte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