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류관음도의 불교학적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Buddhist Meaning in the Painting of Willow Guanyin Figur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2.10
24P 미리보기
양류관음도의 불교학적 의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53호 / 237 ~ 260페이지
    · 저자명 : 김경화

    초록

    오늘날 전지구촌은 코로나 19 펜데믹(Pandemic)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불교에서도 코로나와 같은 전염병이 창궐할 때, 이에 대한 대처를 하였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전염병으로 인한 중생의 고통을 극복하기 위해 관세음보살이 버드나무와 정병[감로수]을 가지고 주문[다라니]을 외워서 병을 치료한다. 이는 『청관음경』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본 논문은 『청관음경』에 나타난 치병의 내용과 관세음보살의 원력을 관음도상과 연관하여 살펴보았다. 관음도상에는 관세음보살이 버드나무와 맑은 물[淨水]을 갖고 있는데, 그 교학적 의미는 전염병으로 인한 중생의 고통을 극복하기 위해 관세음보살이 버드나무와 정수[감로수]로서 중생의 병을 치료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부처님 당시 인도에 대 역병이 창궐하자 부처님이 대의왕인 관세음보살을 칭명하여 병을 소멸시켜 치료하여 중생을 구제하는 내용이 경전에 상세히 나타난다.
    『청관음경』에 나타난 관세음보살의 원력에 의한 치병의 원력은 인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동아시아를 비롯한 불교를 신앙으로 하는 모든 지역과 시대를 초월하여 성행하였음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청관음경』의 역병치료를 통하여 관음도상에 나타난 버드가지와 정수[감로수]의 교학적 의미가 관음신앙에 의한 질병의 업력소멸과 중생구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world is still suffering from the COVID-19 pandemic. When an epidemic like COVID-19 spreads in our lives, Buddhism has shown its resolutions. Among them, the representative example is Avalokiteśvara[觀世音菩薩]’s act to save sentient beings. Avalokiteśvara holds willow branches in one hand and Jung-Byoung[淨甁, Kuṇḑikā], which has holy water inside, in the other and treats diseases by chanting dharani. This is well described in Qing Guanyin Jing[『請觀音經』].
    This paper examined the episode of treatment in Qing Guanyin Jing and the great vow of Avalokiteśvara by relating it with the painting of Willow Guanyin Figure[楊柳觀音圖]. In the painting of Willow Guanyin Figure, Avalokiteśvara has willow branches and pure water, which has its doctrinal meaning in overcoming the suffering of sentient beings caused by the epidemic. Avalokiteśvara treats the disease of sentient beings through willow branches and pure water. During the Shakyamuni Buddha’s time, a deadly epidemic occurred in India. Then, the Buddha eliminated the disease and saved sentient beings by calling the name of Avalokiteśvara. This has been explained in Qing Guanyin Jing in detail.
    Avalokiteśvara’s great vow of treating diseases that appear in Qing Guanyin Jing is not limited to the territorial boundary of India. It was popular in all the places and times, where there was a religious belief in Buddhism, including East Asia. By examining Qing Guanyin Jing’s treatment of the epidemic, this research tried to clarify the doctrinal meaning of willow branches and Jung-Byoung in the painting of Willow Guanyin Figure. It is to eliminate the karma of disease and to save all sentient beings with the belief in Bodhisattva Avalokitesvara[觀音信仰].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