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인정보보호법제의 정합성에 대한 연구 (Consistency in the Legal System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9.06
29P 미리보기
개인정보보호법제의 정합성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연구 / 47권 / 4호 / 429 ~ 457페이지
    · 저자명 : 이제희

    초록

    정보통신서비스 분야의 개인정보 처리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이 적용되지만 개인정보보호법제의 기본법인 「개인정보보호법」과 상당 부분 중복된다. 이는 법률의 체계정합성을 훼손하고, 법률 이해를 어렵게 한다. 정보주체에게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개인정보 수집・활용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의 통합이 요구된다. 위 법률의 통합 시,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공공분문의 특수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공공분야는 행정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활용하다는 점에서 이용내역 통지 및 이의제기 절차 등이 별도로 규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정보통신분야는 기술의 진보가 빠르고,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동태적 정합성을 높일 수 있는 법률의 변화가 요구된다. 가명정보의 도입 및 활용이 정보주체는 물론 사회 전체의 편익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가명정보는 재식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원칙적으로 개인정보의 가명화를 위해 정보주체의 동의가 요구된다. 다만, 가명화 조치의 적정성, 재식별이 가능한 추가정보의 관리 기준, 가명정보의 재식별행위에 대한 처벌 강화 등 보호수단이 마련되면 가명정보의 비동의활용은 익명정보와 유사한 수준으로 허용될 수 있다.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계약의 이행 및 이용자의 편의 증진을 위해 개인정보를 처리 위탁하는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가 요구되지 않는다. 클라우드컴퓨팅에 따른 국외이전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해외 소재 클라우드컴퓨팅에 대한 명시적 역외 적용을 규정하는 것이 개인정보의 보호와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그동안 개인정보 관련 법률의 통합 논의가 진전되지 못한 이유는 법률의 체계 정합성과 가명정보 도입・활용 등 동태적 정합성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수범자 중심의 법체계를 정비하고, 가명정보의 비동의활용 범위를 논의하는 단계적 접근을 고려할 때이다.

    영어초록

    In the present era, most information is processed in electronic form.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Act) is applicable to the processing of electronic forms of personal information b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ervices.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should also apply to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electronic form, as the act i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The following are two reasons for integra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Act: first, there are a substantial number of similar regulations between the Privacy Protection Act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Act; second, dispute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utilization are subject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people to understand the related laws.
    Given that technology is rapidly advancing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has a large impact on both individuals and society, it is important to amend law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In this age of big data, the use of non-identifiable information is important as it enhances the benefits to society and information subj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progressive view of the use of non-identifiable information. The use of pseudonymous information requires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 Because pseudonymous information has the potential to enable identification of the data subject, it has a greater impact on the data subject than the use of anonymous information. However, if an independent agency reviews the adequacy of pseudonymization, and pseudonymous information is used for the public interest, it is possible to pseudonymise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 If data that is stored in overseas cloud computing is leaked, it may cause problems, such as those related to jurisdiction. The legislation of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domestic law to cloud computing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as well as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main reason for the integration of the two laws pertaining to personal information is that it simultaneously solves the two problems of consistency in the legal system and the extent of personal information utilization, such as the use of pseudonymous information. It is clear that consistency in the legal system leads to the improvement of legal understanding. Therefore, first, it is necessary to discuss consistency in the legal system, and thereafter, to focus the discussion on personal information uti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