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명종대 豆滿江 以北지역에 대한 ‘鎭’ 설치 시도 -伊應巨島의 子母鎭 설치와 女眞과의 분쟁을 중심으로- (Attempt to install ‘Jin’ in north of the Tumen River during the period of king Myeongjong in Joseon -Focused on installation of Jamo­Jin in Yieunggeo Island and a dispute with Jurche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2.08
40P 미리보기
조선 명종대 豆滿江 以北지역에 대한 ‘鎭’ 설치 시도 -伊應巨島의 子母鎭 설치와 女眞과의 분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42호 / 149 ~ 188페이지
    · 저자명 : 한성주

    초록

    조선 초기부터 북방의 경계를 두만강과 압록강으로 하였다는 인식이 있었던 반면 조선의 영역은 두만강과 압록강 이북이라는 인식이 있어 왔다. 따라서 조선은 얼마든지 두만강이라는 경계를 넘어 그 지역에 5진과 같은 鎭을 설치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본고에서 살펴보는 明宗대 伊應巨島(또는 仍巨島)의 子母鎭 설치는 조선의 영역인식과 관련되어 실행된 사례이다.
    이응거도는 慶興鎭에서 북쪽으로 10~20리 떨어진 두만강 건너편에 있는 섬[島]이었고, 여진 중에서도 骨幹兀賊哈이 거주하는 지역이었다. 조선에서 이곳에 자모진을 설치하였는데, 그 이유는 경흥진 주변이 잦은 수해를 입어 전답이 상실되고 백성들이 계속 굶주림에 시달리는 등 피해가 컸고, 이응거도에 경작할 만한 땅이 있어서였다. 즉 이응거도의 要路에 진을 설치하여 방어를 하면서, 섬을 개간하여 이익을 얻으려는 것이었다.
    자모진의 설치 시기는 1551년(명종 6) 12월 이전으로, 함경북도병사 金舜皐와 경흥부사 金秀文이 주도하였다. 그렇지만 임시적인 목책에 대한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石城을 쌓고 館舍까지 지은 것이 보고되면서 ‘鎭’ 설치의 便不에 대한 논란을 촉발시켰다. 鎭 설치를 반대한 사람들의 이유는 이응거도의 여진인들을 내쫓으면 결국 땅을 다투게 되어 여진과의 분쟁[釁端]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었다.
    鎭 설치는 승인되었지만, 1552년(명종 7) 7월에 일어난 골간올적합의 西水羅堡 침입으로 조선인 80여 명이 사로잡혀 갔다. 이 침입은 이응거도에 진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고, 자모진 설치가 잘못되었다는 의논이 일어나서 진이 폐기되었다. 또한 여진의 침입에 대한 보복으로 草串 征討에 대한 의논이 일어났다. 여진에 대한 보복 정벌 역시 잘못이라는 의견이 분분하였지만, 1554년(명종 9) 1월 초관 정토는 감행되어 여진인 59명을 참획하는 등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초관 정토 후 4개월이 지난 1554년 5월 여진인들은 다시 침입하여 造山堡가 함락 직전까지 가는 위기를 맞게 되었다. 여진의 조산보 침입은 조선의 초관 정토시에 도망하였던 골간올적합 詩羅孫이 원근의 여진인들을 유인하여 일으킨 것이었다. 결국 조산보 침입의 주모자인 시라손이 조선에 항복하여 옴으로써 이응거도의 자모진 설치에서 비롯된 여진의 서수라보 침입, 그에 대한 조선의 초관 정토와 여진의 조산보 재침입으로 이어진 여진과의 분쟁은 일단락되었다.

    영어초록

    We have awareness that the northern boundary was the Tumen and Yalu Rivers from the early Joseon, but people in the early Joseon had awareness that area of Joseon was north of the Tumen and Yalu Rivers. Therefore, people in Joseon thought that they could install ‘Jin(鎭)’ like five Jins in northern area beyond boundary of the Tumen River. Installation of Jamo­Jin(子母鎭) in Yieunggeo Island(伊應巨島) (or Inggeo Island[仍巨島]) during the period of king Myeongjong(明宗) is one example associated with awareness of area of Joseon.
    Yieunggeo Island was the Island which was 10-20 Ri(里) away in northern direction of Gyeongheung­Jin(慶興鎭) and was on the other side in the Tumen River. Golganoljeokhap(骨幹兀賊哈) inhabited this Island among the Jurchen. Joseon installed Jamo­Jin, because people lost farmlands around Gyeongheung­Jin due to frequent flooding and suffered from hunger, and there were farmlands in Yieunggeo Island. In other words, Joseon wanted to get benefits through reclamation of Island while they defended the Island through installation of Jin in main posts of Yieunggeo Island.
    The time of installation of Jamo­Jin was prior to December 1551 (Myeongjong 6thyear) and the installation was led by Kim Soon­Go(金舜皐) who was achief in charge of military in Hamgeyong North Province and Kim Soon­Moon(金秀文) who was a district magistrate in Gyeongheung. However, although temporary wooden fence was supposed to be built, it was reported that stone castle and official residence were built. The controversy whether or not it was acceptable was sparked. The reason of those who opposed the installation of Jin was that we cast the Jurchen out and fought for the land, and a dispute with the Jurchen might eventually occur.
    The installation of Jin was approved but 80 people were taken captive due to the invasion of Golganoljeohap to Seosura­Bo(西水羅堡) in July 1552 (Myeongjong 7thyear). It was reported that this installation of Jin in Yieunggeo Island caused this invasion. Thus, the discussion about wrong installation of Jamo­Jin was made and then Jin was discarded. Also, the discussion about subjugation in Cho­Gwan(草串) as retaliation for the invasion of the Jurchen was made. There was a variety of opinions concerning retaliation subjugation which was wrong, but Cho­Gwan subjugation was made successfully, including subjugating or killing 59 Jurchen people.
    However, the Jurchen invaded again in May 1554 which was four months after the Cho­Gwan subjugation and Joseon met the crisis in which Josan­Bo(造山堡) was almost taken. Jurchen’s invasion to Josan­Bo was made by Golganoljeokhap Sinason(詩羅孫) who had fled upon Cho­Gwan subjugation of Joseon and induced the Jurchen around there. Finally, a dispute with the Jurchen starting from the installation of Jamo­Jin in Yieunggeo Island through Jurchen’s invasion into Sesura­bo, Joseon’s Cho­Gwan subjugation and Jurchen’s reinvasion into Josan­bo was ended by the surrender of Sirrason who was a leader for the invasion into Josan­b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