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러시아 고려인의 집단농장체제 적응양상- 강제이주 후 집단농장체제에 대한 대응방식을 중심으로 (CIS Soviet-Koreans adaptation to the Kolkhoz system.- Focusing on how to respond to the Kolkhoz system after forced migrati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1.12
26P 미리보기
러시아 고려인의 집단농장체제 적응양상- 강제이주 후 집단농장체제에 대한 대응방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82호 / 55 ~ 80페이지
    · 저자명 : 김현주

    초록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의 디아스포라는 186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공간은 연해주로 그곳에서 이주 한인들은 제2의 한민족 공동체를 형성하며 점차 뿌리를 내리고 살아왔다. 하지만 1937년 한인들이 중앙아시아라는 낯선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 것은 전적으로 러시아 정부의 강압에 의한 것이었다. 이때부터 한인들의 삶은 한 맺힌 디아스포라의 역사였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강제이주의 중심에는 집단농장 체제라는 러시아 정부의 강제된 노동운영 시스템이 자리하는데, 이는 러시아 혁명세력이 농지의 사유제를 폐지하고 농민들을 대규모의 집단농장 단위로 강제 개편한 것으로, 이주 한인들의 삶에 큰 변수로 작용한다. 더욱이 소련 당국의 강권으로 1937년 강제이주를 당해야 했던 고려인들에게 있어 집단농장체제는 생존과 직결되는 공간으로 인식된다. 강제이주 전 집단농장은 빈농 출신 한인들의 토지 소유에 대한 욕망에서 비롯된 자발적 참여로 민족공동체적 성격이 남아있었지만, 강제이주 이후 조직된 집단농장은 농업집단화에 반대한 부농(토호)이나 집단화에 적극적이었던 빈농 구별 없이 강제로 만들어진 공간이기 때문에 소비에트 사회가 요구하는 이상에 충실한 일원이 되는 것만이 생존 가능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스탈린 사후 거주지 이동 제한이 해제되면서 고려인들은 집단농장인 꼴호즈를 떠나 사적으로 경제적 이윤을 얻을 수 있는 강력한 생산방식을 채택하는데, 그것이 바로 계절적 이동농업방식인 ‘고본질’이다. 고본질은 투기성이 강하고 장시간 집을 비워야 한다는 점에서 가족생활에 해체의 압력으로 작용하게 되기도 하지만 중앙아시아 지역 자본주의의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강제이주 이후 고려인들의 집단농장에 대한 접근양상을 살펴보고, 고려인들만의 특화된 농업경영법인 고본질이 가지는 의미와 영향력을 ≪레닌기치≫신문에 기록된 서사물을 통해 는 짚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diaspora of the Korean people in Central Asia began in the 1860s. The region was in the at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where the Korean immigrants gradually took root and lived by forming a second Korean community. It was entirely involuntary migration by the Russian government that Koreans moved to an unfamiliar region called Central Asia in 1937. Since then, the records of Koreans’ lives on Central Asian ground have been left as a history of afflicted diaspora for a long time, and continue to these days.
    There was the Russian government's forced labor management system, a collective farm system at the center of forced migration. It was a major variable in the lives of Korean migrants that the private land system and forcibly reorganizing farmers into the large-scale collective farms forced to be abolished by the Russian revolutionary.
    Moreover, the collective farm system was recognized as a space directly connected to survival for Goryeo people who had to be forced to migrate in 1937 due to the power of the Soviet authorities.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Goryeo people's approach to collective farms before and after forced migration. If the collective farm during the Primorsky Period was formed by voluntary participation resulting from the desire of Koreans from poor farming to own land, the collective farm organized after forced migration can be said to be a space create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rich farming (toho) and poor farming.
    For this reason, collective farms organized after forced migration are often described as general labor sites that Soviet society idealizes rather than unique emotional aspects shared between the same ethnic group. However, with the lifting of restrictions on the movement of Stalin's post-residential area, Goryeo people adopt a strong production method that can lay a private economic foundation, leaving the group farm, Ggulhoz, which is the “Gobongi” of seasonal mobile agriculture.
    “Gobongi” can be evaluated as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capitalism in Central Asia, although it acts as a pressure to dismantle family life in that it is highly speculative and has to be away for a long tim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daptation patterns of Goryeo people to collective farms in Primorsky and Central Asia, and to examine the nature of "Gobongil" a specialized agricultural management law, and the identity of Goryeo people revealed through th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