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로 공개된 謙齋 鄭敾의 1742년작〈漣江壬戌帖〉 - 蘇東坡 赤壁賦의 조선적 형상화 - (Newly Introduced Chong Son’s 《The Painting Album of the Yon River in the Year of Imsul, Yongang Imsulchob (1742)》: Korean Representation of Su Shi’s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3.12
26P 미리보기
새로 공개된 謙齋 鄭敾의 1742년작〈漣江壬戌帖〉 - 蘇東坡 赤壁賦의 조선적 형상화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미술사학 / 2권 / 159 ~ 184페이지
    · 저자명 : 이태호

    초록

    《연강임술첩(漣江壬戌帖)》은 겸재 정선이 양천현령시절 제작한 화첩이다. 영조 18년(1742) 10월 보름날, 임술년을 맞아 경기도관찰사 홍경보가 경기 동부지역을 순시 중에 삭녕 우화정으로 경기도 관내 최고의 시인 연천현감 신유한과 최고의 화가 양천현령 정선을 불러들여 연천의 웅연까지 뱃놀이를 즐겼고, 정선은 이 이벤트를 〈우화등선(羽化 登船)〉과 〈웅연계람(熊淵繫纜)〉 두 점으로 그렸다. 그림의 제목대로삭녕 우화정에서 배를 타고 출발하는 장면과 웅연에 도착하여 닻을 내리는 장면을 각각 담은 것이다. 이 모임은 같은 임술년(1082)에 가졌던북송대 문인 소동파(蘇東坡)의 일화에서 비롯되었다. 660년 전의 고사(故事)를 추모하여 재연한 행사였던 셈이다. 이를 밝힌 홍경보의 서문과 신유한의 글 ‘의적벽부(擬赤壁賦)’ 일부, 그리고 정선의 발문(跋文) 을 합하여 꾸민 서화첩이 《연강임술첩》이다. 기존에 알려져 있던 화첩본 이외에 새로이 2011년 11월 필자가 참여한 동산방화랑 기획전에또 다른 《연강임술첩》이 공개되었다. 정선이 화첩의 발문에 밝힌 대로 세 화첩 가운데 두 번째가 출현한 셈이다.
    《연강임술첩》의 〈우화등선〉(도6)과 〈웅연계람〉(도7) 두 폭은소동파 적벽부 관련 고사도이자 실경산수화이면서, 동시에 경기도관찰사의 선유 행사를 담은 기록화이다. 옆으로 긴 화면을 적절히 소화한 대가다운 구성방식을 보여준다. 고운 비단에 비교적 강한 먹을 쓰고 옅은담채와 먹의 농담으로 늦가을의 정취가 살짝 감돌게 그렸다. 강변의 절벽과 암봉(岩峯)은 북종화풍인 농묵의 부벽준(斧劈皴)을, 먼 토산과 근경언덕은 피마준(披麻皴)과 태점(苔點)의 남종산수화풍을 구사했다. 남북종화풍을 조화시켜 임진강변의 풍광을 그렇게 담아낸 것이다. 겸재가통상 현장사생을 거의 하지 않았듯이, 아마 두 점도 관아에 돌아와 기억으로 이미지를 재구성했을 것으로 본다. 실경그림과 실경현장을 비교하기 난감할 정도로 이상화 시켜 놓았다. ‘의취(意趣)를 살리며 외형 닮기에 소홀히 했다’는 당대 문인 이하곤(李夏坤)의 지적을 실감케 하는 진경작품이다. 그리고 좌우로 긴 풍경에 행사장면과 그 주변 등장인물이나 경물들을 소홀히 다루지 않고, 기록화적 성격까지 적절히 살려놓은명작이다.

    영어초록

    《The Painting Album of the Yon River in the Year of Imsul, Yongang Imsulchob 漣江壬戌帖》 is a painting album made by Chong Son when he worked as a magistrate of the Yangchon County.
    On the fifteenth day of October in the 18th year (imsul year) of King Yongjo(1742), Hong Kyongbo, the provincial governor of Kyonggi province, during his tour of inspection of the eastern Kyonggi region, invited Sin Yuhan who was the best poet in the Kyonggi province and a magistrate of the Yonchon County as well as Chong Son who was a magistrate of the Yangchon County to the Uhwa pavilion at Saknyong, and then enjoyed a boat ride together.
    Chong Son painted this event with two paintings, <Uhwadungson>, a scene of riding and departing a boat at the Uhwa pavilion in Saknyong and <Ungyongyeram>, a scene of dropping anchor as arriving at Unghyon in Yonchon.
    This meeting stemmed from the story of Su Shi(Dong-po), the Northern Song literati which happened in the year of imsul (1082) and thus was an event to commemorate Su Shi(Dong-po)’s story 660 year ago. 《Yongang Imsulchob》 contains the preface of Hong Kyongbo, a part of ‘The Poetry in the imitation of Red Cliffs’ by Sin Yuhan, and a colophon by Chong Son. Besides the painting album which have been already known, the new 《Yongang Imsulchob》 was introduced in the exhibition opened by the Tongsanbang gallery on November, 2011. As Chong Son wrote in the colophon, the second among three painting albums, has now shown up to the public.
    〈Uhwadungson〉and〈Ungyongyeram〉of《Yongang Imsulchob》 were based on the old story of Su Shi(Dong-po)’s Ode to the Red Cliff and depicted an actual scenery of the Yon River. It is also the pictorial record of the boating event of the provincial governor of the Kyonggi province.
    The painting shows a masterful composition using a long horizontal space. On a file silk, Chong used a rather strong ink, light color, and ink tone to depict a late autumn scene. A cliff and a stone peak were drawn in the Northern school style by an ax-cut stroke while an earthen mountain and a hill in the foreground were done with the Southern school style by a hemp-fiber stroke and a moss dot. Because Chong Son had never painted a sketch on-site, these two paintings must have been made by his memory after he returned to his office which resulted in the idealization of an actual scenery. It is also the masterpiece of a careful documentation of the event scenes, the participants, and the landscapes in a long horizontal scre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