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초 康兆의 政變과 中臺省의 등장 — 선휘원·은대와 중대성의 치폐과정에 담긴 의미 — (The Coup of Gang Jo and The Emergence of Jungdaeseong(中臺省, Palace Secretariat) in the Early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3.03
44P 미리보기
고려 초 康兆의 政變과 中臺省의 등장 — 선휘원·은대와 중대성의 치폐과정에 담긴 의미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09호 / 41 ~ 84페이지
    · 저자명 : 김보광

    초록

    고려의 7대왕 목종은 5대왕 경종의 아들이지만, 6대왕이자 외삼촌인 성종의 손에서 자랐으며, 성종 사후에 18세로 즉위하였다. 하지만 그의 재위기간은 천추태후라 불린 어머니가 영향력을 크게 행사하였으며 어머니의 연인인 김치양이 정치적으로 급부상하였다. 게다가 목종에게 자식이 없는 와중에 1003년(목종 6)에 천추태후와 김치양 사이에 아들이 태어나자 천추태후가 그 아들을 목종의 후사로 삼으려 하였다. 그에 따라 목종의 후계 자리를 놓고 정치적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 문제는 1009년(목종 12) 1월 16일에 대부의 기름창고에 일어난 불이 번져 천추전을 태운 사고를 계기로 정치적으로 표면화되었다. 또 이 일 때문에 목종은 병이 나서 칩거한 채 궁궐을 폐쇄하고 정무를 보지 않아서, 정국의 혼란은 극에 달하게 되었다. 목종은 서경에 있던 강조를 불러 자신의 신변을 지키게 하는 한편으로 승려였던 대량원군(뒤의 현종)을 개경으로 불러 자신의 후계로 삼아서 이 혼란을 타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김치양 일파에게 목종이 이미 살해되었다고 오해한 강조는 왕실을 바로잡고 김치양 일파를 제거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켰다. 하지만 목종이 살아있자 王命 없이 군사를 일으킨 ‘반역’을 한 셈이 되어 거병의 합리화 정당화를 위해 끝내 정변을 일으켰다. 그 결과 김치양은 죽고 2월 2일에 목종이 폐위되고 3일에 현종이 즉위하는 것으로 이 사태는 18일 만에 일단락되었다. 그리고 나서 곧 목종은 강조에게 살해되었다.
    서경의 군사력으로 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잡은 강조는 국왕의 측근 기구들인 중추원을 비롯하여 선휘원과 은대, 세 기구를 中臺省으로 통합하고, 그 장관에 자신이 직접 취임하였다. 이들은 모두 국왕의 근시 기구라는 공통점이 있다. 중추원은 국왕의 대표적인 근시 기구로, 왕명 출납을 담당하고 있었다. 선휘원은 궁중 내의 의례나 여러 잡다한 일을 담당하는 등 국왕이 거처하는 궁궐을 관리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었다고 추정된다. 그리고 은대는 중앙과 지방의 문서행정, 즉 왕명의 전달과정을 맡고 있었다. 여기에서 강조가 중대성을 설치한 목적을 엿볼 수 있다.
    애초 강조는 서경에서 5천명의 군대를 이끌고 정변을 일으켜 현종을 옹립하고 목종을 살해하였기에, 그는 이미 현종 초에 군사력을 장악하고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그는 정치적 실권을 손에 쥘 수 있었다. 그렇다고 하더라고 강조는 관제상 국가요직에 자리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으며, 정치 결정 과정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있었던 것이다. 정변이라는 긴급수단을 통해 정권을 잡은 터이기에, 또 다시 정변이 발생할 소지를 방지하는 것이 그에게 매우 중요하였을 것이다. 결국 강조는 국왕의 신변과 왕명의 출납 과정, 왕명의 전달 과정을 중대성이라는 단일 기구로 통합하고 그곳을 직접 장악하여 그 같은 가능성을 방지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아울러 중대성의 설치는 국왕을 견제하고 감시한다는 의미도 담겨 있었을 것이다. 바로 여기에 중대성이 등장한 계기를 찾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거란과의 전쟁으로 나주까지 피난을 갔던 현종은 1010년 11월에 강조가 거란에 사로잡혀 죽고 1011년 1월말에 거란이 물러났다는 사실을 알자마자 개경으로 돌아오던 중간인 1011년 2월에 중대성을 폐지하였다.

    영어초록

    While the seventh king of Goryeo, King Mokjong(穆宗; r. Oct. 997~ Feb. 1009) was the son of the fifth king King Gyeongjong(景宗; r. May 97 5~July 981), he was raised by his uncle on his mother’s side, King Seongjong(成宗; r. July 981~Oct. 997) and ascended the throne at the age of 18 after the death of King Seongjong. However, during the period of his reign, his mother, Queen Cheonchu(or Cheonchu-taehu 千秋太后), exercised great influence over state affairs and her lover Kim Chi-Yang(金致陽) rapidly rose as a political power. In addition, while King Mokjong had no child, in the sixth year of his reign, a son was born between Cheonchu-taehu and Kim Chi-Yang. As Cheonchu-taehu wanted her son to become heir to the throne of King Mokjong, political conflicts erupted over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This problem politically surfaced when a fire in the oil storage in Daebu(大府, Bureau of the Palace Bursary), a managemental organization of royal documents and fortunes, spread and burned up the House of Cheonchu-taehu, Cheonchu-jeon(千秋殿) in January 16, 1009 (12th year of the reign of King Mokjong). Following this event, King Mokjong became ill and did not administer the affairs of state while closing the palace and shutting himself up inside it. This resulted in an extreme political chaos. King Mokjong called in Gang Jo(康兆) who was in Western Capital Seogyeong(西京; modern Pyeongyang) and had him protect his security. On the other hand, He recalled in prince priest Daeryangwon(later Hyeonjong) to capital Gaegyeong(開京; modern Gaeseong) and sought to resolve the chaos by designating him as the heir to the throne. However, by misunderstanding that King Mokjong was murdered by the faction of Kim Chi-Yang, Gang Jo staged a coup for the apparent cause of removing the fraction of Kim Chi-Yang. As a result, Kim Chi-Yang was killed, and then King Mokjong was dethroned in February 2 and King Hyeonjong(顯宗; r. Feb. 1009~May 1031) was enthroned in February 3. In doing so, this event was concluded in 18 days. And a few days later, King Mokjong was killed by Gang Jo.
    Gang Jo, who had seized power by staging a coup with the military power of Seogyeong, integrated Jungchuwon(中樞院, Privy Council), Seonhwiwon(宣徽院, Institute of Palace Miscellaneousness), and Eundae(銀 臺, Office of Transmission), which are the administrative offices of the king’s aide, into Jungdaeseong(中臺省, Palace Secretariat). He appointed himself as its minister since then. These offices had it common that they were the offices in charge of intimately serving the king. Jungchuwon was the representative office to serve the king and in charge of receiving and passing the king’s orders to other offices. Seonhwiwon is presumed to have supervised the palace in which the king resided, including the handling of various miscellaneous events such as ceremonies and rituals within the palace. Finally, Eundae was in charge of the administration of central and local documentation,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delivering the king’s orders. In fact, these offices hint at the purpose for which Gang Jo installed Jungdaeseong. Given that Gang Jo enthroned King Hyeonjong and killed King Mokjong by mounting a coup with 5,000 soldiers in Seogyeong, he was already in control of military power from the early reign of King Hyeonjong. Based on this, he could seize practical political power. Despite this fact, because Gang Jo did not hold an important post in terms of the governing structure, he could potentially be isolated from the process of political decision making. As he had seized power through the emergency means of coupe, he must have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 prevention of another potential coupe. Eventually, Gang Jo intended to eliminate such a likelihood for another coupe by gaining control over the courses of protecting the king’s security, receiving and forwarding the king’s orders, and delivering the king’s orders through documentation through a single office called Jungdaeseong. In addition, its installation may have had the meaning of checking and keeping an eye on the king. This may have been the key cause for the formation of Jungdaeseong. For this reason, King Hyeonjong, who had fled down to Naju due to the war with Khitan Liao, abolished the office in February 1011 during his return to Gaegyeong as soon as he heard the news that Gang Jo was captured and killed by Gang Jo in November 1010 and Khitan Liao retreated in January 1011.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