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러시아 극동 소련 한인의 중앙아시아 강제이주 계획과 이주 과정 - 1937년 이주문서를 중심으로 - (Forced Migration Plan and Migration Process to Central Asia of Soviet Koreans in the Russian Far East - Focusing on the 1937 Migration Document -)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1.02
45P 미리보기
러시아 극동 소련 한인의 중앙아시아 강제이주 계획과 이주 과정 - 1937년 이주문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재외한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외한인연구 / 53호 / 51 ~ 95페이지
    · 저자명 : 김영술

    초록

    이 연구는 소련 한인들의 중앙아시아 강제이주가 어떻게 계획되었는지, 이주 실상은 어떠 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1937년 8월 21일부터 1937년 12월 19일까 지 구소련에서 작성된 주요 이주 문서 아카이브(АП РФ, ГАРФ, РА ИПСИ ЦС НДПУ, РГ АСПИ, ЦА ФСБ)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내용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제이주의 주요 원인과 배경 으로는 일본의 첩보 활동에 한인들의 이용을 막기 위한 것이며, 사회주의 건설을 위해 반소 비에트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었다. 둘째, 극동 지역에서 카자흐와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한인 이주비용은 가구당 6,000루블이었다. 이 중에서 소련 정부는 극동 지역에서 화물 열차 한 가족 운송 비 용 750루블, 가족 음식, 의료 및 문화 서비스에 250루블하여 1,000루블을 지불하였고, 남겨 진 개인 및 콜호즈 농작물에 대한 지불 및 개별 건물, 재고 등의 대가로 2,000루블을 지불받 을 수 있도록 할당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3,000루블은 생계와 건축 등을 위해 지원받는 금액 인데 그것도 대출형식이었다. 셋째, 한인들의 중앙아시아로 이주 과정은 이주 방침과 실행과는 달랐다. 이주열차의 80% 가 지침대로 진행하지 않았다. 우리에게 알려진 강제이주 열차 탑승 인원과 첫 열차 출발 날 짜도 달랐다. 강제이주 총 인원은 극동 지역 출신 한인 36,442가구 171,781명보다 많은 36,681가구 172,600명이 이주했다. 강제이주자가 실제 이주자 수보다 훨씬 많은 것을 보면 극동 지역에 거주하는 미등록 한인이 상당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주 첫 열차 출발 날짜는 계획과는 달리 조정되어 모두가 9월 9일이 아닌 9월 10일이었다. 그리고 강제이주 열차는 음식과 식수 문제, 화장실 문제, 열차에서의 호위(반혁명·사보 타지 등에 대비)직원들의 활동으로 이주자 통제, 환자 발생 시 보건 문제 등이 가장 어려웠 을 것이다. 한편, 강제이주 과정에서 사망한 한인에 대해서는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사망자는 하바롭스크 근처 열차 충돌 희생자를 포함하여 673명으로 추산할 수 있다. 특히 이동과정에 서 열차 충돌 사고는 테러라는 측면에서 보면 안전 문제에 커다란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 열차 사고는 일본 제국주의와 관련이 있는 스파이 조직이 행한 것이었다. 또한 강제이주 한인열차 충돌 조사 결과 김 아파나시가 일본 간첩으로 활동했다는 증언은 없었다. 조사에서는 김 아파나시를 일본 정보부의 간첩으로 1937년 강제이주 한인 열차 충 돌 사고와 연관시켜보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이다. 그동안 한인 강제이주 실상에 대해 밝혀지고는 있지만, 아직도 수많은 비밀이 풀리지 못 한 채 남지 않아 있다. 그래서 새로운 자료 발굴이 요구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Soviet Koreans' forced migration to Central Asia was planned and in reality. This study focused on migration documents stored in the former Soviet Union from August 21, 1937 to December 19, 1937. The details reveal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cause and background was to prevent the use of Koreans in Japanese espionage activities, and to eliminate anti-Soviet elements for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Second, the cost of moving Koreans from Far East Krai to Kazakh and Uzbek Soviet Socialist Republics was 6,000 rubles per household. Of these, the Soviet government paid 750 rubles for freight train transportation per family in Far East Krai and 250 rubles for family food, medical and cultural services, for a total of 1,000 rubles. Koreans allocated 2,000 rubles to pay for the remaining individual and cohort crops and for individual houses and inventory. This was a really ridiculous amount. And the remaining 3,000 rubles were supported for living and construction, which was also a form of loan. Third, the process of Soviet Koreans' forced migration to Central Asia was different from the migration policy and practice. 80% of convoy trains did not go according to the guidelines. The number and date of forced migration are different from the plan. The total number of forced migrants was 172,600 people from 36,681 households, more than 171,781 Soviet Koreans' from Far East Krai. Looking at the number of forced migrants far more than the actual number of migrants,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were a significant number of undocumented Koreans residing in Far East Krai. Contrary to the plan, the departure date for the convoy is September 10, not September 9.
    And it was the most difficult for the forced migrants on the train to solve food and water problems, the toilet problem, control of migrants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escorts on the train(preparation for counter-revolution, sabotage), health problems in case of patients, etc.
    On the other hand, the details of the Koreans who died in the process of forced migration are unknown, but the number of deaths can be estimated to be 673 people, including the victims of a train crash near Khabarovsk. In terms of terrorism, a train crash in the transport process had a big problem with safety. The train accident was done by a spy organization related to Japanese imperialism. In addition, there was no testimony that Afanasy Kim had acted as a Japanese spy in the results of the crash investigation of the Korean train for forced migration. However, the investigation suggests that Kim Afanasy was intended to be linked to the crash of the Korean train in 1937.
    Although it has been revealed about the fact of forced migration of Soviet Koreans', still many secrets remain unsolved. That is why the discovery of new data is requi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외한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