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동엽의 죽음의식과 금강 자살사건-신동엽 시 「강」과 산문「금강잡기」 : 신동엽 연구(8)- (Poet Shin Dong-yup’s Death Consciousness and Geumgang Suicid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1.03
23P 미리보기
신동엽의 죽음의식과 금강 자살사건-신동엽 시 「강」과 산문「금강잡기」 : 신동엽 연구(8)-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88호 / 223 ~ 245페이지
    · 저자명 : 김응교

    초록

    이 글은 신동엽 시인의 시 「강」과 산문 「금강잡기」를 분석하며, 연관된 실제 사건을 알아보고, 신동엽이 어떻게 글을 썼는지 추론해본 글이다. 첫째, 실제사건이다. 신동엽은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작품을 썼다. 「진달래 산천」도 빨치산 경험이 있다는 것을 최근에 발표된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현장답사다. 「금강잡기」를 보면 실제 사건이 일어난 현장을 가보았다고 써있다. 서사시 『금강』도 현장 답사를 충분히 하고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누구나 잊지 못할 공간이 있다. 신동엽 시인은 ‘금강’을 사랑했고, 금강에 얽힌 죽음을 시와 산문으로 썼다. 셋째, 문장구성이다. 「금강잡기」는 기승전결이라는 고전적인 짜임으로 한 편의 산문을 완성시켰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죽음을 모티프로 한 작품은 신동엽 시 전 기간에 여러 번 나온다. 죽음이란 모티프는 떼어낼 수 없는 상상력의 근원이었다. 거기 죽음에서 머물려 하지 않고 그는 생명(生命)을 쓰고 싶어했다(「시인정신론」). 그러나 그는 유고시 「강」에 죽음 자체를 썼고, 산문 「금강잡기」에서 는 죽음과 예술을 함께 보려는 생성의 의지를 담으려 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s Shin Dong-yup’s poem “River” (강) and prose writing “Geumgangjagi” ( “Geumgang River Story,” 금강잡기, 錦江雜記), examining the actual events to infer how Shin Dong-yup wrote. First, Shin Dong-yup wrote his work against the backdrop of an actual incident, the “Jindalae Sancheon” (진달래 산천), as confirmed in a recent article. Second, it is based on his own experience. “Geumgangjagi” states that he had been to the scene where the incident occurred. The epic poem “Geumgang” is also known to have been fully explored and written, constituting an unforgettable space. As a poet, Shin Dong-yup loved the “Geumgang,” and wrote poetry and prose about the death at the Geumgang River. Third, the sentence composition shows that “Geumgangjagi” was composed as prose with the classic arrangement of “Geumgangjagi.” Works using the motif of death, an inexhaustible source of inspiration for him, appear several times throughout Shin Dong-yup’s poetic career; he sought to use life (poetism) so as not to remain in death. However, he wrote of death itself in the poem “River,” and in “Geumgangjagi” he tried to capture his creative will to see death and art toge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