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남(市南) 유계(俞棨)의 현실 인식과 경세론 - 「강거문답(江居問答)」을 중심으로 - (Perception of Reality and the Statecraft of Yu Gye)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0.09
42P 미리보기
시남(市南) 유계(俞棨)의 현실 인식과 경세론 - 「강거문답(江居問答)」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90호 / 151 ~ 192페이지
    · 저자명 : 이경동

    초록

    본 연구는 17세기 중반 유계가 저술했던 「강거문답」을 통해 서인계에서 인식한 현실인식과 사회경제정책의 방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란 이후 조선 사회에서는 사회개혁을 위한 다양한 개혁론이 제시되었다. 유계의 「강거문답」 또한 17세기 중반 발생하는 사회현실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현실적인 방안의 경세론을 제시했다.
    유계는 이이의 경세론을 수용하여 「강거문답」을 저술하였다. 구조적으로 이이의 「동호문답」의 체계를 채택하였다. 유계는 이이를 조선사회에서 경세론의 가장 대표적인 인물로 설정하였으며, 내용면에서도 이이의 경세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와 함께 자신이 경험했던 17세기 중반 현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경세론을 체계화시켰다.
    「강거문답」에서 대표적인 경세론은 공납제와 군역제로 구분된다. 유계는 당시 사회경제정책으로 활발하게 논의되던 공납제 개혁과 군정 개혁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납제 개혁에서는 임토작공의 논리에 입각한 공안개정을 바탕으로 민이 부담하는 공납액의 비율을 감소시킨 다음 대동법을 시행하여 미포를 통한 공납제 개혁을 밝혔다. 군정 개혁은 균등한 군역 부담을 통해 현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당시 군역의 담당 주체인 양인 뿐만 아니라 사족까지 포함한 수포를 통해 개인이 부담하는 역역 부담을 줄이고자 하였다. 또한 속오법 내에서 제외된 천인층도 봉족으로 속오법 내에 편입하게 함으로써 균역의 원칙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군정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유계의 경세론은 시의에 부합한 개혁을 추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제도적인 방법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또한 개혁을 완수하기 위해 군주의 수신, 관료의 임관, 구민의 방법을 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제도적인 방법을 통해 제시된 유계의 경세론은 이이 경세론의 계승 양상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후 전개되었던 경세론의 흐름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reality perceived by Seo-in (西人) faction and their socio-economic policies through Ganggeo-Mundap written by Yu Gye (俞棨, 1607-1664) in the mid-17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and the Manchu War in 1636, many reformative discourses were suggested for the social reform in Joseon society. Yu Gye, writing Ganggeo-Mundap (江居問答), suggested his realistic statecraft by showing the reality of the society around the mid-17th century and its solution.
    Yu Gye adopted Yi Yi(李珥, 1536-1584)’s statecraft when writing Ganggeo-Mundap. Ganggeo-Mundap followed the structure of Dongho-Mundap (東湖問答) by Yi Yi. Yu chose Yi Yi as the most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statecraft for the Joseon society, and his idea of the statecraft structured by the Sovereign, the Minister and Relieving the People resembles that of Yi Yi. To support his argument, Yu stressed Gyeongjang(更張; literally re-string, or rehabilitation of the society) which was the core of the Yi Yi’s statecraft, or directly quoted Yi Yi in his writing.
    In Ganggeo-Mundap, the two most remarkable statecraft ideas are Tribute Payment and Military Service. Yu presented the specific plans for the reformation of both tribute system and military service system, which were actively discussed at the time. In his reform for the tribute payment, Yu urged the diminution of people’s tribute payment rate based on the principle of Rentuzuogong(任土作貢; setting tribute on the basis of the regionality), and then application of Daedongbeop(大同法, Uniform Land Tax Law), where people can pay tributes in the form of rice and cloth. In the reform for the military service, he tried to solve the problem by equalize the burden of the military service among the people. Thus, he sought to lower the load of corvee labor by enlarging the target of collecting military cloth tax to the literati. In addition, the lowest class were excluded from Sogo-beop(束伍法, regimental troop system), but Yu intended to include the lowest class into Sogo-beop by making them subsidiary to the soldiers in order to achieve the principle of Gyunyeok, the equivalent services.
    The statecraft of Yu Gye was founded on the principle that the reform must be timely, and he pursued the structural plans to overcome the social problem. Moreover, he emphasized the morality and the will of the sovereign and the bureaucrats as the leaders of the society to accomplish the reform. The way he valued the structural plans shows that he succeeded the statecraft of Yi Yi, and that it has a close relevance to the flow of the statecraft afterwa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