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동기시대 남한지역 인구분포 변동 연구 -강원지역과 금강-만경강 유역을 중심으로- (Changes in Population Distribution in South Korea During the Bronze Age -Focusing on the Gangwon Province and the Geum and Mangyeong River Basin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3.04
27P 미리보기
청동기시대 남한지역 인구분포 변동 연구 -강원지역과 금강-만경강 유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부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학 / 22권 / 1호 / 5 ~ 31페이지
    · 저자명 : 황재훈, 김준희, 조진경, 이정은

    초록

    본고는 한국 선사시대 인구연구의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시론의 일환으로, 강원지역과 금강-만경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취락 유적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주거지의 수량과 총면적, 합산확률분포(SPD)의 추이를 통해 인구분포 변동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세부권역별로 취락 점유분포, 인구규모 및 밀도, 인구 증감 정도와 속도에서 다양한 시공간적 편차가 감지되는 등 역동적인 인구현상이 확인되었다.
    강원 영동지역의 점유밀도는 3250 cal BP 이래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는 것으로 살펴지는데, 2950 cal BP 정점에 도달한 후 몇 차례의 증감을 반복하면서 2350 cal BP까지 일정규모를 유지하는 양상을 보인다. 영서지역은 보다 이른 시기에 점유되며 인구밀도 또한 상당히 높다. 상승세와 반복적 증감, 최정점, 정체기 등 공통된 경향성이 나타나지만, 세부 권역을 구분해서 살펴본 결과 상반된 인구변동 양상이 살펴진다. 남한강유역은 3000 cal BP에 정점을 이룬 후 급감하며 2750 cal BP 이후 매우 낮은 분포밀도의 정체기를 갖는데 반해, 북한강유역은 3000 cal BP 이후 완만한 증가세가 이어지다 2800 cal BP에 이르러 급등하여 정점에 도달한 후 증감을 반복하면서 오랜 기간 높은 분포밀도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금강-만경강유역은 5개의 권역으로 구분하여 단위지역 간 점유밀도 및 인구증감의 연동관계를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미호천-금강 상류는 3000~2900 cal BP 사이 정점에 이른 후 감소되는 한편, 금강 중류는 3000 cal BP 정점에 도달하여 2800 cal BP 이후 급감하는 양상을 보인다. 반면 금강 하류-만경강유역은 이른 시기 점유가 매우 희소하다, 2850~2800 cal BP를 기점으로 급증하여 2750 cal BP에서 정점을 이룬 후 2350 cal BP까지 높은 분포밀도를 유지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이상의 청동기시대 강원지역과 금강-만경강유역에서 확인되는 인구현상은 인구의 자연적 증감이 아닌 사회적 요인에 따른 인구성장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2800 cal BP를 전후하여 특정 지역에서의 인구유출과 다른 지역으로의 인구유입, 인구쇠퇴와 인구결집이 동시적으로 발생하는 양상을 주목하였다. 이와 같은 인구분포 변동의 발생에는 토지조건, 농업형태, 노동환경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주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population distribution changes through changes in the probability density distribution (SPD) of Bronze Age settlements in the Gangwon region and the Geum and Mangyeong river basins.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was a dynamic population phenomenon, with various spatiotemporal deviations in occupancy distribution, population size and distribution, and the extent and speed of population growth and decline in each area.
    First, the occupancy density in the Yeongdong region of Gangwon Province shows a continuous increase since 3250 cal BP. It reaches a peak at 2950 cal BP and then goes through several rounds of increase and decrease, maintaining a constant size until 2350 cal BP. On the other hand, the Yeongseo region was occupied earlier and has a significantly higher population density. While the population fluctuations in the two regions share common trends of rising and falling, peaks and valleys, they exhibit different patterns at the sub-regional level. Specifically, the South Han River basin peaks at 3000 cal BP and then declines sharply, plateauing at a very low density after 2750 cal BP, while the North Han River basin shows a gradual increase after 3000 cal BP, followed by a sharp rise to 2800 cal BP, where it peaks and then declines, maintaining a high density for a long period of time.
    Next, the Geum and Mangyeong River basins were divided into five areas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s of occupancy density and population growth and decline. The Upper Geum River and Miho River peak between 3000 and 2900 cal BP and then decline, while the Middle Geum River peaks at 3000 cal BP and then declines sharply after 2800 cal BP. On the other hand, the Lower Geum and Mankyung river basins are barely occupied in the early periods, but the population surges around 2850-2800 cal BP, peaking at 2750 cal BP and maintaining a high occupancy density until 2350 cal BP.
    The Bronze Age population phenomenon identified in the Gangwon Province and the Geum and Mangyeong River basins can be interpreted as population growth driven by social rather than natural factors.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around 2800 cal BP, there were simultaneous population outflows from certain areas and population inflows to other areas, as well as population decline and population agglomeration.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land conditions, agricultural patterns, and labor conditions are likely to 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ese demographic shif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