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姜甑山의 儒佛仙관과 神道사상- 趙鼎山의 「无極道」와 관련하여 - (Gangjeungsan’s viewpoint on three east religions and the thoughts of heavenly Tao - related with Cho Jeongsan's Mugeuk-do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6.05
29P 미리보기
姜甑山의 儒佛仙관과 神道사상- 趙鼎山의 「无極道」와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44호 / 143 ~ 171페이지
    · 저자명 : 고남식

    초록

    조정산의 무극도는 증산을 신앙대상으로 하여 창건된 종단이다. 정산은 1909년 강증산의 천명을 받드는 봉천명(奉天命)으로부터 1958년의 정산의 화천(化天)까지 50년 동안의 포교공부를 통해 증산의 사상을 세상에 전해나가는데, 증산이 말한 「포교오십년공부종필」의 50년의 기간을 따른 행적이다. 증산은 천지에 존재하는 허무(虛無), 적멸(寂滅), 이조(以詔)를 받아 순차적으로 선불유가 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주장하는데 이러한 논리로 보면 관왕은 천지의 도솔(兜率)을 받아 이루어지며 허무, 적멸, 이조를 관장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유불선과 증산의 새로운 도(道)인 신도가 유기적 관계 속에서 연계되어 작용하고 있다. 전교는 순환론적인 세계관으로 인류사에서 정치와 가르침을 행했던 인물이나 종교사상이 시간의 주기를 따라 규칙적으로 탄생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증산의 화천 후 종통을 이어 증산의 가르침을 펼친 정산의 전교 내용은 황제, 오제(五帝) 등의 상고 신교적(神敎的) 통치와 가르침 그리고 불 유 기독교 등을 펼친 석가, 공자, 예수와 그들 가르침의 주기적 전파를 적고 있다. 무극도(无極道, 1925) 이전에 발표된 전교(1923)는 야소교를 마지막으로 이전 원(元) 4617년의 기간을 마무리 한다. 무극도는 증산의 종통을 계시로 받아 포교 50년간의 공부를 하고 있는 정산에 의해 창도된다. 전교에서 초통은 신도(神道)의 기간이고 중통과 계통은 유불선이 유행하던 기간이다. 이어 창도된 무극도는 중통과 계통의 기간에 유행한 유불선을 이어 그 정수를 반영해서 교리를 세운 종단이다. 전교에서는 대표적으로는 선(仙)과 관련해서는 황제, 불(佛)과는 석가, 유(儒)와는 공자 등이 순차적으로 등장하는데, 선불유가 포태양생욕대를 따라 연차적으로 작용하여 관왕을 이룬다는 증산의 관왕론과 이론적 기반을 같이 한다. 무극도가 창도된 것은 종교의 창시자들이 불 유 서교의 가르침에 통한 이들을 내어 인류 역사 속에 계속적으로 그들의 가르침을 전하나 아직 세상에 이상세계가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며 증산의 관왕론을 맞춘 신도로서의 의미가 있다. 정산이 창도한 종단인 무극도는 증산의 신도를 이룬다는 성격을 갖고 있다.

    영어초록

    Jeung-san appointed new religious leaders of Confucianism, Buddhism, Zen, and Western religion and carried out the work of Reordering of the Universe that sought for unifying human civilization as one famil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Gwan-wang(law of adulthood).
    Cho Jeong-san's Mugeuk-do(无極道, 1925) was a religious order that also worshiped Kang Jeung-san. Cho Jeong-san spread the thought of Kang Jeung-san through the work of propagation for 50 years from 1909 when he received the heavenly mission to the date he passed into heaven in 1958. This achievement of his was previously told by Kang Jeungsan as "Completion of 50-year-work of propagation".
    Kang Jeung-san claimed that the thoughts of Zen, Buddhism, and Confucianism were activated in turn when each of them met the energy of Futility, Annihilation, and Documented statement(以詔) respectively. With this in regard, the law of adulthood is led by Heavenly order and considered to take charge of Futility, Annihilation, and Documented statement. This indicates that the though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 and the new Shindo(Divine Law) of Kang Jeung-san are organically interrelated in action.
    『Jeon-gyo』 shows the world view of circulation that the advent of historical figures and religious thoughts followed the regular cycle of time during the human history. In 『Jeon-gyo』 that was announced in 1923 before the foundation of Mugeuk-do, the time frame is largely divided in three phase of Cho-tong, Jung-tong, and Gye-tong. Cho-tong was the time of Divine Law(神道) and Jung-tong and Gye-tong was the time when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 had influence in the world. Mugeuk-do, a religious order founded afterward, applied the essenc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 into its teachings. In 『Jeon-gyo』, Yellow Emperor shows up as the representative of Zen, then Shakamuni as the representative of Buddhism, and Confucius for Confucianism, all of them in a time order. This has the same theoretical foundation as Kang Jeung-san's Law of Adulthood, which says Zen,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successively The fact Cho Jeongsan(鼎山, 1895~1958) established Mugeuk-do has the meaning that three east religions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west religion (Christianity) could not succeed to make world Utopia anymore and so actualize the heavenly Tao as a Ripeness of Three-Religion(冠旺) which Gangjeungsan(1871~1909) created. Mugeuk-do which Jeongsan established has the charcteristics of succession and achievement of heavenly Tao which Gangjeungsan (1871~1909) created. The fact that the statue of the Buddha in Maha-Temple(摩訶寺) lower one's head alluded Jeongsan’s Mugeuk-do reached a higher state of consciousness than Buddihism. Not only the statue of the Buddha in Maha-Temple but also a Chinese poem written by Jeungsan and Jeungsan shows the implication of Maha-Temple heavenly scheduled work has the symbolism that Mugeuk-do, which were established by Jeongsan as a legitimate successor of Jeungsan, is the religious order which unfold Jeungsan’s heavenly Tao.
    Jeungsan emphasized people should participate Chenjigongjeong(天地公庭,heavenly and earthly works) as human beings before Mugeukdaeun(无極大運,blissful programme of endless and limitless fortune) is unfolded. Mugeukdo Jeongsan launched shows the meanning and the reason of emphasize of Jeungsan by passing the knowhow to attain the stage of Do-Tong-Gun-Ja (道通君子, the perfection of man with spiritual enlightment). Jeongsan’s moral lesson on method(法方) of practicing religious principle to dicipline is based on Jeungsan’s Chenjigongjeong to attain the stage of Dotonggunja . Jeongsan, as the Daedoomok(大頭目, those who reform everything against heaven and earth) who received knowhow to attain the stage of Dotonggunja illuminated method of practicing religious principle and missionary work, which are related with Taoistic spiritual enlightment.
    The fact Cho Jeongsan established Mugeuk-do has the meaning that three east religions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west religion (Christianity) could not succeed to make world Utopia anymore and so actualize the heavenly Tao as a Ripeness of Three-Religion which Gangjeungsan(1871~1909) cre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