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리지린의 『고조선 연구』와 조중고고발굴대 - 顧頡剛의 자료를 중심으로 - (Reexamination of role and significance of Lee Ji-Rin’s study on Old Joseon and Korea-Chinese joint excavation on North-Eastern Part of China in 1963~1965 year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5.09
30P 미리보기
리지린의 『고조선 연구』와 조중고고발굴대 - 顧頡剛의 자료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45호 / 29 ~ 58페이지
    · 저자명 : 강인욱

    초록

    한국학계에서 리지린은 1980년대 촉발된 고조선의 영역문제로 회자되었지만, 사실 그의 연구는 북한은 물론 러시아의 연구가 유.엠.부찐에게도 결정적 영향을 주었던 바, 사회주의권을 대표하는 고조선의 연구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영역과 관련된 소모적인 논쟁에만 그의 연구가 인용될 뿐, 그의 연구가 태동하게 된 배경 및 중국과 북한의 연구에서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전혀 논의가 되지 못했다. 본 고에서는 리지린의 의의는 단순하게 영역 논쟁으로 그칠 수 없으며, 1960년대에 지속되었던 북한 학계의 첨예한 학문적 갈등 속에서 만들어지고 등장한 인물임을 밝히고자 했다.
    필자가 본 고에서 밝혀낸 바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 번째로 고힐강의 일기와 북한의 자료들을 대조한 결과 리지린의 연구와 고조선의 강역을 둘러싼 논의가 사실상 이미 1950년대 말부터 북한 학계 내부적으로 치밀하게 준비되었다는 점을 밝혀냈다. ‘고조선에 관한 과학토론회’는 사실상 이러한 북한학계가 재편된 것을 공표하는 것에 불과했다. 두 번째로는 리지린의 방중목적은 이미 상당부분 완성된 고조선 연구를 고힐강 지도하의 박사학위를 통해서 공인받으려는 했다고 보인다. 고힐강의 지도는 형식적인 측면이 강했지만, 리지린의 연구에는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하여 경계심을 표했다. 이와 같이 리지린의 유학은 북한-중국간의 역사갈등의 단초가 되는 역작용도 초래했다. 세 번째로 리지린이 북경유학을 한 또 다른 목적은 이후 조직된 조중고고발굴대를 위한 준비에 있었다. 리지린의 박사학위논문 목차를 이후 출판된 『고조선연구』와 대조한 결과, 『고조선연구』에는 박사학위논문과 비교해서 고조선 영역 내의 고고학적 자료에 대한 보완이 대폭되었음을 확인했다. 리지린이 박사학위논문 작성 이후 조중고고발굴대를 인솔해서 중국을 다시 방문할 것을 대비하여 북경 체재기간에 중국 동북지역의 고고학적 자료 집성에 힘을 기울였음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리지린의 모습은 중국문헌을 통해 고조선의 영역을 증명하려는 문헌사학자의 모습만 부각되었다. 하지만, 실제 리지린은 자신의 설은 궁극적으로 고고학적 자료로 증명할 수 있을 것으로 믿었다. 이에는 한반도 자체의 고고학자료로 당시 헤게모니를 장악하였던 도유호를 견제하려는 의도도 포함되었던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author reexamines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Lee Ji-Rin’s study on Old Joseon based on newly published Ku Jiekang’s diary data. According to Ku Jiekang’s writing, Lee Ji-rin studied in Beijing University from 1958~1961 y. by Ku Jiekang’s instruction. In spite of short period, Li Ji-Rin started to submit his dissertation orderly since Jan. 1961 y. It means that Li Ji-rin already prepared his work before staying in China, and the defence in China was a mere better than a symbolic ceremony. Author argues that the reason for Li Ji-Rin’s defense in China resulted from the conflict between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around the location of Old Joseon.
    So far, it is believed that Liaoning theory of location of Old Joseon was confirmed in 1963 y, after colossal discussion on the Old Joseon. But, if referred Lee Ji-Rin’s studying and acting in China started since 1958 y., we can conclude that the controversy over Old Joseon started from middle of 1950’s years, and the public discussion in 1963 was nothing but symbolic gesture to purge Do, Yoo-Ho.
    In this context, we can also figure out how the Koren-Chinese joint excavation of Old Joseon sites in 1963~1965 years started. After the discussion on Old Joseon, Lee, Ji-Rin organised joint excavation to prove his theory, but in the other hand, it arises serious conflict with China.
    So far, historian in South Korea just valued Lee, Ji-Rin just for supported of Liaoning location theory of Old Joseon. But, in this study author argues that his appearance cause not from mere academic discussion, but from inner conflict of North Korean Academ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