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雪峯 姜栢年의 表를 통해 본 조선시대 月課 창작의 일단면 (Aspect of the Wŏlgwa in Chosŏn through the Pyo of Sŏlbong Kangbaeknyŏ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2.04
38P 미리보기
雪峯 姜栢年의 表를 통해 본 조선시대 月課 창작의 일단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36권 / 231 ~ 268페이지
    · 저자명 : 이미진

    초록

    月課란 홍문관 및 예문관 관료나 문장이 뛰어난 신진 관료를 대상으로 한 정기 시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고려시대 성종대부터 그 기원이 시작된다. 이후 조선 태종대부터 영조대까지 시험 대상과 방법이 바뀌었지만, 당하관 이하 신진 관료 중 문장이 뛰어난 이를 선발하여 승진 및 권학하려는 목적에서 그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즉 월과는 인재를 발탁하고 교육하려는 두 가지 목적에서 시행된 것이다.
    월과는 조선시대 문신을 대상으로 한 대표적인 시험이자 교육 제도였음에도 科試 및 課試에 비해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월과의 변천을 살펴보고, 강백년이 월과로 제출한 表 5편을 대상으로 17세기 중반 월과 창작의 일단면을 파악해보기로 한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문집에 과문을 싣는 경우가 드물었고, 싣더라도 그것이 ‘月課’라고 표기되지 않는 경우도 많아서 월과 작품의 특징과 경향을 분석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강백년의 『雪峯遺稿』에서는 월과 작품을 시기별, 문체별로 분류하고 장원의 여부까지 기재하여 당대 월과의 시행 여부와 작품 경향을 살펴보기에 적합하다. 월과로 제출한 작품을 시기별로 자세히 기재하였다는 것은, 강백년이 월과에 자부심이 있었다는 것이며, 월과로 제출한 72편 중에서 36편이 장원을 차지하였다는 것은, 강백년의 작품이 당대 월과의 모범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강백년이 월과로 제출한 표 5편은 모두 의작으로 지어졌고, 평측이나 장단구의 구성, 발어사의 사용 등은 일반 科表의 특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꾀꼬리가 신하로서 왕에게 사은하면서 이백의 시를 평하고, 본문의 내용과 연관된 이미지와 전고를 사용하여 글의 목적에 도달하려고 한 점은 강백년의 表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강백년은 내용과 관련된 전고를 동원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글을 올리는 목적에 맞게 전고를 배치함으로써 表의 본령을 잊지 않으려고 했다. 이러한 특징들은 강백년이 월과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라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A Wŏlgwa is a regular exam for Office of Special Advisers and Office of Royal Decrees’ officials, as well as new officials with excellent writing skills. In the case of Korea, its origins begin from the Korea Dynasty, the reign of King Sŏngjong. From the reign of King Taejong to Yŏngjo in Chosŏn, the subject and method of Wŏlgwa changed, but the necessity was raised for the purpose of selecting and promoting those with outstanding sentences among the new officials. In other words, Wŏlgwa was implemented for two purposes: to recruit and educate talented people. Although Wŏlgwa was a representative test and educational system for civil officials in the Chosŏn, the research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Gwashi(科試) and Gwashi(課試).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and limitations of Wŏlgwa in the Chosŏn, and tries to identify aspect of the Wŏlgwa in the mid-17th century by looking at the Pyos that Kangbaeknyŏn submitted as Wŏlgwa.
    It is not eas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 Wŏlgwa works as it was rare to include examination prose in the collection of literature toward the late Chosŏn, and even if it was often not marked as ‘月課’. However, Kangbaeknyŏn’s Sŏlbongyugo is suitable for examining whether Wŏlgwa were implemented and the trends of the works by writing the period, style, and grades as well. All five Pyos submitted by Kangbaeknyŏn as Wŏlgwa were written in ŭijak, and the composition of level and deflected, long and short lines did not very differen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Gwapyo. However, in Kangbaeknyŏn’s Pyos, the oriole is personified, and it gave thanks to the king, criticized Lee Baek’s poems. Kangbaeknyŏn tried to reach the purpose of the writing by using images and an allusion(典故)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text. In addition, Kangbaeknyŏn tried not to forget the essence of the Pyo by arranging an allus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yo.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seen as the reason why Kangbaeknyŏn was able to achieve excellent grades in Wŏlgw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