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경강 유역 농기의례의 마을간 연대원리-금마 ‘기세배’를 중심으로- (The Principle of Solidarity among Villages in the Mangyeong River Area that Observe the Dure Flag Ritual-focused on ‘Gisebae’ in Geum-m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08.12
24P 미리보기
만경강 유역 농기의례의 마을간 연대원리-금마 ‘기세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37호 / 353 ~ 376페이지
    · 저자명 : 김월덕

    초록

    본고의 목적은 만경강 유역의 농경의례인 금마 ‘기세배’를 중심으로 농기의례의 마을간 연대원리를 살펴보는 것이다. 마을을 상징하는 농기를 매개로 여러 마을들이 연대하는 농기의례는 마을들 간의 ‘관계’를 기초로 성립하며, 마을들 간 위계와 소통의 관계 형성에는 자연환경 조건과 인문적 조건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본고에서는 금마 ‘기세배’를 사례로 마을들 상호간의 관계가 자연 및 인문환경과 어떻게 연관되며 연대가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다.
    표면상으로 보면, 금마 ‘기세배’는 열두 마을이 형제의 수직적 서열관계를 기반으로 연대한다. 그러나 내부로 들어가서 살펴보면, 마을들 간의 위계는 중심과 주변의 역학관계로 다시 얽혀 상호간 연대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즉, 기세배에 참여하는 마을들은 기본적으로는 마을 단위로 생업활동을 하지만, 지리적으로 인접한 마을들은 생업공간을 공유하는 지연공동체이자 수리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수리공동체로서, 이들 사이에는 마을 단위 이상의 공동체적 연대가 형성된다. 이렇게 마을간 연대가 이루어질 때 생산과 관련하여 더 유리한 입지를 차지하는 ‘중심’ 영역과 그 ‘주변’ 영역이 생기고, ‘기세배’는 실질적으로 이러한 중심-주변의 관계역학 구도 속에서 행해졌던 것이다.
    마을들 간의 연대 관계 형성에는 생업과 직접 관련된 조건뿐만 아니라 생활권, 두레조직, 마을신앙, 종족마을의 영향력과 후원 등 인문적 요소들의 영향도 두루 작용한다. 장시와 읍치가 있는 중심마을군은 금마 일대의 생활권에서 사회와 경제의 중심지였으며, 거주 인구가 많아 ‘큰 동네’로서 위상을 가질 뿐만 아니라, 군중이 모이기 용이한 장소를 제공하여 중심마을군으로서 여러 조건을 충족하였다. 금마의 경우, 중심마을군의 강력한 문화적 위상은 마을간 서열을 정하기 위해 고안된 다른 어떠한 방식이나 관례보다 우선하며, 중심마을군은 이러한 기반을 토대로 마을간 소통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었다.
    금마 기세배는 마을들 간의 관계 표면에서는 형제 서열을 연대의 동기로 삼고 있지만, 마을들 간의 관계 내부로 들어가 살펴보면, 자연과 인문 환경을 기반으로 형성된 내적 질서에 따라 마을들 간의 관계가 구축되고 연대가 이루어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기세배의 마을간 연대원리는 마을 간의 위계를 결정짓거나 차별적 관계를 확인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땅․사람․물의 상호관계망 속에서 마을들이 공존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한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rinciple of solidarity among villages in the case of Geum-ma Gisebae (ritual bowing with Dure flags), an agricultural ritual observed in the Mangyeong river area. At the time of the Dure flag ritual village participants get together with flags that represent each villag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llages. The hierarchical and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the villages is influenced by nature and the human environment.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relationship of villages is carried over into the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and demonstrated during the Geum-ma Gisebae.
    Ostensibly, in Geum-ma Gisebae twelve villages are associated on the base of brotherly hierarchical relations. However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I found the reciprocal solidarity of the villages exhibited center/periphery dynamics rather than a hierarchical order. That is, even though the villages that participated in Gisebae made their own livelihood in each village, adjacent villages that may own a paddy field jointly may take over all the watering of the fields. So hyper-village solidarity is created between these several villages. At this time, the villages in a favorable situation become the ‘center’, the rest of the villages become the ‘periphery’. Gisebae, in substance, was enacted in the center-periphery dynamics between the villages.
    Village solidarity is influenced by the human environment such as living space, working association like Dure, religious belief in village guardian deities, the influence and support of clan villages and so on as well as the condition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making a living. The central villages where fairs are held and regional offices exist are social and economic centers, and took precedence over other villages. In addition those villages often have the unoccupied ground where a crowd can gather for celebrations. In the case of Geum-ma, the prestige of villages that are at the center has precedence over any other custom that fixes rank between villages.
    Village solidarity in Geum-ma Gisebae is externally motivated by the order of brotherly relation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villages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an internal order based on the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The ultimate object of the inner order and solidarity principle are not fixing the rank of villages or defining discriminatory relations between villages, but offering a way for the villages to inseparably coexist in the network of mutual relations of land, people and wa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