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술변법시기 캉유웨이(康有爲)의 서양인식: 주요 저작을 중심으로 (Kang Yuwei's Recognition on the West the Time of Wu-Xu Bian-Fa Movement: Centering on Main Writing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3.03
17P 미리보기
무술변법시기 캉유웨이(康有爲)의 서양인식: 주요 저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북아논총 / 18권 / 1호 / 119 ~ 135페이지
    · 저자명 : 이영란, 고재휘

    초록

    무술변법시기 중국지식인의 서양인식을 이해하기 위해, 캉유웨이의 『공자개제고(孔子改制考)』, 『대동서(大同書)』의 주요 저작을 통해 그가 인식한 서양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캉유웨이는 20대 전반에 공양학적 개념, 유학의 개념과 서양 학문의 새로운 지식을 하나로 절충하기 위해 준비하였다. 이후 캉유웨이는 저술 이외에도 황제에게 상주를 올리는 방법을 선택하여 그의 사상을 확대해갔다. 당시 서양의 사상에 관한 전반적 지식이 중국지식인들에게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래서 캉유웨이 역시 서양의 민권․자유․평등이라는 개념을 완전히 이해했다고 보기보다는 부국강병, 국권을 우선하는 ‘충’이라는 개념에 서양 근대 정치사상을 절충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는 『공자개제고』(1897)에서 공교를 통한 정치적 개혁으로 근대국가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가 생각한 공자를 주체로 하는 개혁은 곧 중국을 주체로 하는 중국 근대를 의미하기도 한다. 서양 학문을 무조건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서양 학문을 새롭게 해석하여 전통적 유학 안에서 그 주체를 확보하고자 하였던 이론적 기반이 바로 공자개제론이다.
    『대동서(1902)』에서 그는 서구열강의 침략으로부터 청조를 구제하기 위하여 중국의 전통적 테두리 안에서 부국강병 정책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가 구상한 대동사상은 서양의 근대자본주의 요소 가운데 자유, 평등, 천부인권사상 등을 흡수하여 구상한 것으로 전통 유학의 재해석을 통해 서양의 근대적 요소를 받아들이고자 하였다.
    캉유웨이는 중국의 전통체제를 자신이 인식한 서양 사상과 새로운 해석 아래 융합하여 시대의 요청에 따라 개혁을 선도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speculate how Kang Yuwei recognized the west before Wu-Xu Bian-Fa Movement through his writings titled 『Kongzigaikao』and『Datongshu』.
    Kang Yuwei was prepared to unify the concept of Gongyang, the Confucianism and new western knowledge in his early twenties. Then, he expanded his idea through writings and reports to the throne. At that time, knowledge on the western ideas was not easily accepted by Chinese intellectuals. So, it is not thought that he completely understood the concepts of civil right, freedom and equality of the west. Rather, it is thought that he interpreted the western political ideas based on traditional concepts of military strength and loyalty.
    The 『Kongzigaikao』was intended to establish a modern nation by political reform through catechism. The reform he suggested meant modernization of China led by Confucius. Kongzigaikao is a theoretical base for identity of the western knowledge within the range of traditional Confucianism through its new interpretation rather than a suggestion on its absolute exclusion.
    In the『Datongshu』, he intended to establish the policy of military strength within the traditional frame of China to save Ching Dynasty from invasion of western powers. Datong Idea was made by absorbing the concepts of freedom, equality and natural rights out of components of modern capitalism of the west.
    Kang Yuwei led the reform following the request of the time by combining traditional system of China with western ideas he recognized and their new interpre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북아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