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기를 통해 본 고대 영산강유역 사회와 백제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ekje and Yongsangang river basin's polities seen through the potte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2.10
38P 미리보기
토기를 통해 본 고대 영산강유역 사회와 백제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42권 / 87 ~ 124페이지
    · 저자명 : 김낙중

    초록

    영산강유역에서 범마한양식이 유행하던 단계에도 한성백제양식의 토기가 일부 확인되고 있으나 그것은 영역 확대에 의한 토기제작기술과 문화의 전파에 의한 것이 아니라 낙랑으로부터 가야에 이르는 해로를 이용해 철기 등을 교류하는 과정에 백제 중앙과 관련된 집단에 의해 일부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즉, 정치적인 의미로 해석할 여지가 거의 없다.
    영산강유역에 횡혈식석실분이 도입되는 단계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백제계 토기가 부장되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일부 백제 요소가 반영되거나 여러 형식 중 하나로 백제계 토기가 등장한다. 백제계 토기라도 현지세력이 주도하여 생산・분배하였다. 이후 삼족토기 등 전형적인 백제 기종이 새롭게 등장하는데 기대 등과 어울려 나타난다. 그런데 백제계 토기는 지역에 따라 출토 빈도가 다르고 지역색도 보인다. 이것은 백제와의 관계가 영산강유역 전체적으로 일률적이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이처럼 고총 단계의 백제양식토기는 영산강유역양식의 유행이라는 틀을 깨지는 못하고 다양한 외래 토기의 하나로 도입되었다. 한편 영산강 상류지역에 보이는 백제계 토기는 왕권 중심지역보다 금강유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호남 서남부지역집단이 한성백제의 왕권에 적극적으로 진출하여 교섭한 흔적은 토기로 보는 한 아직 분명하지 않다. 웅진기 이후에 일부 보이기 시작하는데 왕권 주변에 거점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이는 백제왕권의 일방적인 필요에 의해서만 영산강유역에 백제토기가 등장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백제식 석실이 본격화된 6세기 중엽 이후에는 영산강유역양식 토기는 사라지고 사비기 백제토기가 유행한다. 이때도 나주 복암리집단은 대부완과 같은 사비기의 고급 기종을 사용하여 다른 지역에 비해 위상이 여전히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The Hanseong Baekje(漢城百濟) style's pottery was partially brought into Yongsangang(榮山江) river basin while the Manhan(馬韓) style's pottery having been prevalent.
    The Baekje style's pottery began to be buried in stone chamber in earnest from mid-5th century. But those were not original and produced by local craftsman together with the Kaya(加耶), Wa(倭) style's pottery. The frequency of Baekje style's pottery varies depending on the region. This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with Baekje and Youngsangang river basin polities was not uniform. The Baekje style's pottery of Big tomb phase had not break the framework of the prevalence of Yongsangang style, and was introduced as one of various exotic pottery. And the Baekje style's pottery seen in the upper region of the Youngsangang river basin is closely related Geumgang(錦江) river basin pottery than the center of the throne.
    The signs of exchange between the kingdom of Hanseong Baekje and Youngsangang River valley polities are not yet clear. Yongsangang style's pottery was brought some into the Ungjin Baekje(熊津百濟) and was even established the base of exchange with the throne. It shows that the unilateral need of Baekje to Yongsangang basin was not the cause of appearance of Baekje style's pottery.
    After the mid-6th century, Youngsangang style's pottery disappeared and Sabi Baekje(泗沘百濟) style's pottery had been very popul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