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동과 기억의 관계시학 - 한 강 『소년이 온다』를 중심으로 - (‘Memories’ and ‘Affective’ - Focusing on Han Gang's 『The Boy is Coming』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6.12
34P 미리보기
정동과 기억의 관계시학 - 한 강 『소년이 온다』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64호 / 105 ~ 138페이지
    · 저자명 : 정미숙

    초록

    한 강은 소설 『소년이 온다』를 통하여 ‘광주 민주화 운동’(이하 ‘광주’)을생생하게 증언한다. ‘광주’를 다룬 그녀의 소설이 새삼 주목되는 까닭은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과 그런 현장을 견디며 새겼던 ‘정동’의 과정을 섬세하게 포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강의 ‘광주’는 관계시학인 시점에 따라삽화적 기억(1장과 6장), 집합적 기억(2장과 4장), 역사적 기억(3장과 5 장)으로 나뉘고, 그에 따라 겹친 듯 상이한 ‘정동’을 드러낸다.
    1장 <어린 새>와 6장 <꽃 핀 쪽으로>는 ‘동호’를 주인공/초점화자로 삼아‘너’라고 부르며 이야기하는 이인칭 서술이다. ‘동호’와 동호를 그리는 ‘동호엄마’의 ‘광주’는 삽화적 기억에 속한다. 둘은 친구와 아들을 졸지에 잃은것인데, 그들을 견디게 하는 것은 ‘잔혹한 낙관주의’란 정동이다. 잔혹한낙관주의란 실현이 불가능하여 순전히 환상에 불과하거나, 혹은 너무나 가능하여 중독성이 있는 타협된/공동 약속된 가능성으로 조건에 대한 애착관계를 이르는 말이다. 대상 자체가 삶을 연속시키는 조건으로 작용하기에포기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잔혹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살아남은 자의지극한 ‘부끄러움’을 동반하는 것으로 폭력에 무기력한 개인의 아픔을 절감하게 한다.
    2장 <검은 숨>과 4장 <쇠와 피>는 일인칭 화자 ‘나’의 시점으로 ‘광주’를드러낸다. 2장과 4장은 내 것이나 내 것이 아니었던 몸의 시간, 고문과 구타로 이어졌던 현장 ‘광주’를 증언한다. 인간과 동물의 경계를 살 수 밖에없었던 ‘우리’의 ‘집단적 기억’은 씻을 수 없는 ‘수치’와 ‘혐오’의 정동을 발생한다. ‘수치’와 ‘혐오’는 죽음 이후에도 사라지지 않는 것으로, ‘광주’에 갇힌‘폭력’의 치명성을 역설한다.
    3장 <일곱개의 뺨>과 5장 <밤의 눈동자>는 광주 이후 살아남은 두 여성의 삶을 조망하고 있다. 기억의 역사적 의미, 미래를 위한 기억의 보존적가치를 ‘투사’였던 두 여성의 상처와 극복기, 정동의 전환적 자세를 통해탐문하고 있다. 이 두 장에 이르러 개인적 기억과 집합적 기억에 대한 균형과 거리를 갖게 하는 ‘연민’과 ‘성찰’의 전향적 정동이 가능해진다. 폭력의 기원과 아무 것도 아닌 존재로 추락할 수 있는 취약한 우리 존재의 현실에 대한 답변을 마련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an Gang's novel 『 The Boy is Coming』, which is a story about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hereinafter ‘Gwangju’), in terms of ‘memories’ and ‘affective strategies’. To restore ‘Gwangju’ in more detail, the novelist alternatively represents memories from different viewpoints and vividly catches up ‘affects’ that are arise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Based on the poetics of relationship, this study largely grouped memories depicted in the novel into three, or episodic(1st and 6th chapters), collective(2nd and 4th) and historical memories(3rd and 5th) , and examined affective strategies found in each group, which are similar or different.
    Both the 1st and the 6th chapters, respectively subtitled as <A Little Bird> and <Towards the Flower Blossoms> are based on the second-person viewpoint in which ‘Dong-ho’ is the protagonist/ focalizer who is called ‘you’. Memories that Dong-ho and his mother have belong to episodic memories which include voluntary or non-voluntary recollections of episodes or feelings that they had experienced themselves. It is the affect of ‘cruel’ optimism that makes the two characters endure the memories of having lost a friend or son.
    Compromised possibilities that are unrealizable and merely illusive or that are too much realizable and addictive refer to attachment to a certain condition. This condition may be regarded ‘cruel’ because it makes a person last his or her life by relying on the memories of a subject. Episodic memories that a person has are what are too severe to be shared.
    In both the 2nd chapter <A Black Breath> and the 4th chapter <Steel and Blood>, ‘I’ reveals ‘Gwangju’ from the first-person perspective. In the 2nd chapter, ‘I’ is ‘Jeong-dae’. He shows how he and other people were massacred and thrown away. In the 4th chapter, ‘I’ recollects and testifies how ‘I’ spent time with his fellow, ‘Kim Jin-soo’ who was killed. Both of them share ‘collective memories’ about tortures that they underwent in ‘Gwangju’. The two chapters are all a testimony of violence that made them feel their bodies as if not theirs. ‘Collective memories’ that ‘we’ as a group or participants have are a vivid testimony of the suffering of ‘Gwangju’. By the way, affects that they express based on those memories still have the risk of being distortedly interpreted as grumbles or complaints from people who fail to adapt themselves to society. This is a warning against another aspect of violence, that is, so-called the tail wagging the dog.
    The 3rd and the 5th chapters, respectively subtitled <Seven Cheeks> <Eyes of the Night>, focuses on two women who survived ‘Gwangju’, depicting how the two fighters were hurted and recovered and how they converted their affects and ultimately exploring how much the memories are historically meaningful and how much the preservation of memories are valuable for the future.
    The two chapters allow balance between personal and collective memories, compassion and distance for reflection. Both the chapters also provide answers or solutions to questions that the main characters of the novel had in mind, human violence and our realities that make us vulnerable and even fall into not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