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매일신보>>에 연재된 이해조 산정 <강상련>의 특징과 의미 (A Study on published on ≪Maeil Shinbo≫)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1.10
24P 미리보기
&lt;&lt;매일신보&gt;&gt;에 연재된 이해조 산정 &lt;강상련&gt;의 특징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판소리연구 / 32호 / 209 ~ 232페이지
    · 저자명 : 이문성

    초록

    <강상련(江上蓮)>은 1912년 3월 17일부터 4월 26일까지 총 33회에 걸쳐서≪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된다. 이것은 창자 심정순(沈正淳 ; 1873~1937년)의 판소리 <심청가>를 이해조(李海朝 ; 1869~1927년)가 산정(刪正)한 작품이다.
    ≪매일신보≫에 연재된 이해조 산정 <강상련>의 특징과 그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강상련’의 표제는 ‘강상(綱常)의 도인 효를 실천하고자 목숨을 걸고 물에 빠졌다가 물 밖[江上]으로 살아 돌아온 심청’을 ‘연꽃[蓮]’에비유하여 명명한 이해조의 재치로 여겨진다.
    신문 연재본 <강상련>에서 심봉사 안맹과 곽씨부인 죽음의 시점은 심청의고난의 정도를 극대화한 설정이다. 이것은 극한의 역경에도 불구하고 출천대효로서 역할을 다하는 심청을 부각시킨다.
    또한 심청과 심봉사의 연령을 나타내는 표지는 인물의 고난기간과 보상기간을 맞추고 있는 듯하다. 심봉사는 ‘칠십 향수’, 일평생인 70세를 기준으로써잃어버린 딸을 되찾고 잃어버린 시력을 되찾고 새 처자를 만나서 새 자식들과 새 가정을 갖게 된다. 심청은 인당수의 제수가 될 때까지 고단했던 15년의삶을 용궁생활과 황궁생활의 ‘15~16년’으로 보상받는다.
    신문 연재본 <강상련>은 활자본에 비해서 선본(先本)일 뿐만 아니라, 문면이 정제된 선본(善本)으로서의 가치가 높다. 또한 신문 연재본 <강상련>은판소리 장단 표지를 중심으로 사설을 담고 있어 소설뿐만 아니라, 판소리예술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아울러 신문 연재본 <강상련>을 비롯한 일련의 판소리 산정 작품은 이해조의 식자로서의 면모와 수완을 이해하는 데에, 20세기 초 신문·출판문화를이해하는 데에 기초자료가 될 만하다. 이에 신문 연재본에 대한 적극적인고구가 필요할 듯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study on <Kangsanlyeon> published on ≪Maeil Shinbo≫which is one of korean daily newspapers in the early 20th century.
    <Kangsanlyeon> is based on <Shimcheong-ga> which is sung by Sim, Jeongsun who is a famous vocalist of pansori and recreated by Lee, HaeJo.
    <Kangsanlyeon> published on ≪Maeil Shinbo≫ becomes a model of other pieces of novels, Kangsanlyeon and Simcheongjeon. <Kangsanlyeon> contains a lot of symbols that present filial piety and interest elements to readers. It is the first and the best work of Kangsanlyeon’s and Simcheongjeon’s since 1912.
    <Kangsanlyeon> published on ≪Maeil Shinbo≫ has various pansori modes of singing. It has the value of a musical text in the history of pansori because a sound and melody of <Shimcheong-ga> which was sung by Sim, Jeongsun has disappeared already.
    Through <Kangsanlyeon>, we can understand an ability of Lee, Haejo as a writer and recreator, the best model of Kangsanlyeon’s and an aspect of publishing cul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판소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