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압록강 유역 설화의 지역적 특수성 연구 (A Study on Distinct Regional Characteristics of Folk Tales in the Amnokgang Basi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4.05
32P 미리보기
압록강 유역 설화의 지역적 특수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 / 15호 / 157 ~ 188페이지
    · 저자명 : 안상경

    초록

    압록강 유역의 조선족은 강에 의지해 황무지를 수전으로 만들었다. 의학이 널리 보급되지 않았기에 장백산으로부터 뻗어 내린 숱한 자락에 의지해 약초를 캤다. 삶의 공간이 고구려의 고토였기에 옛 향수를 자극해 한민족의 친연성을 확보하기도 했다. 그리고 압록강이라는 존재 자체에 이러한 삶의 양상과 인식,지향과 바람 등을 직·간접적으로 투영시켜 새로운 설화를 생성, 전승시켜 나갔다. 하여 압록강 유역의 설화는 압록강 유역이라는 특정한 공간에서 새로이 삶의 터를 가꾸어야 했던 조선족의 고유한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이를 추출컨대, 우선 설화 전반에서 거북이, 가재, 미꾸라지 등이 신비롭고 초월적인 능력을 지닌 수신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달리 ‘물신’으로 표현하고 있다. 물신은 천재든 인재든 인간을 위해 고군분투한다. 발원지 유역의 설화에서는 삼신노인이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는 수호자로 등장하고 있다. 장백산의 산삼이 여느 지역의 산삼보다 약성이 뛰어나다는 보편적인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장백산의 산삼으로써 질병을 치료하고자 한 갈망이 응축되어 삼신노인을 형상화했다고 할 수 있다. 하류 유역의 설화에서는 천상계의 선녀가 지상계의 산수를 탐하는 반면, 발원지와 상·중류 유역의 설화에서는 압록강의 수신과 천상계의 선인이 산수를 정성껏 정제했기 때문에 빼어나게 것이라고 웅변하고 있다. 신들이 가꾼 산수,그래서 더욱 빼어나고 성스럽다고 여긴 전승자의 인식을 엿볼 수 있다. 하류 유역의 설화에서는 고구려가 요충지마다 산성을 축조하여 군사방어체계를 구축했고, 그것이 압록강 본류와 중심 지류인 혼강 유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는 역사적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류유역의 설화에서 고구려가 하백녀와 주몽을 조상신으로 숭앙했고, 제천의식을 통해 조상신과 직접 소통함으로써 국가의 위기 상황을 타개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Korean-Chinese in the Amnokgang basin cultivated the local wasteland into paddy fields by taking advantage of the river. The river wasa lifeline from a god for them who had considered poverty their fate. Withlack of science and medicine supply, they picked all kinds of medicinalherbs depending on abundant mountain river feet along with the river fromMt. Changbaek. Moreover, they secured the affinity of the Korean peoplewith their old nostalgia stimulated by their living place which was the oldterritory of both Goguryeo and Balhae in the past. They also kept creatingand passing down new folk tales which directly or indirectly reflected intothe Amnokgang’s existence itself these ways of life, their recognition of life,their aims and wishes, and so on. Folk tales in the Amnokgang Basin reflectthe inherent recognition of one of the Korean people who had to establisha new living foundation in particular areas of the Amnokgang basin. Thesefolk tales can be precious materials which enable us to know one aspectof the Korean people because, from a viewpoint of the government positionin the Choseon Dynasty era, the official documents recorded from animperial standpoint in Colonial Choseon must be regarded as all the thingswe can refer t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글로벌문화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