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산강유역 석곽분 등장과정과 그 의미 (The Existence of Stone-Lined Tomb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Its Significanc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5.11
34P 미리보기
영산강유역 석곽분 등장과정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8권 / 2호 / 7 ~ 40페이지
    · 저자명 : 최성락, 김민근

    초록

    석곽분은 대체로 4세기 중․후반 가야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축조되기 시작하였다. 5세기대에 축조된 초기 석곽분의 분포는 크게 서남해안지역과 영산강 중상류지역으로 나누어진다. 서남해안지역의 석곽분은 바다에 접하고 있어 서로 공통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는 반면 영산강 중상류지역의 석곽분은 좀 더 발달된 형태로 축조되었다.
    석곽분의 기원은 선사시대의 무덤과 연결시켜 볼 수도 있겠지만 이를 직접적으로 증명할 고고학 자료가 없다. 한편 일부 연구자들은 백제계, 왜계, 가야계 석곽과의 관련성을 강조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유입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영산강유역 초기 석곽분은 어느 한 지역의 특징만으로 구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외부 주민들의 이주에 의한 축조로 볼 수 없다. 따라서 5세기 전엽경 한반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영산강유역의 재지세력들은 새로운 형태의 무덤인 석곽분을 받아들였던 것이다.
    이러한 초기 석곽분의 존재를 통해 영산강유역 고대문화에 대한 인식은 달라져야 할 것이다. 즉 영산강유역에서는 석곽분이 먼저 유입되었고, 뒤이어 석실분이 축조되었음이 분명하다. 그동안 영산강유역에서 옹관고분의 존재가 워낙 강하게 인식되었기 때문에 이 사실은 쉽게 인지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또한 5세기대 영산강유역의 고대사회는 지역별로 다른 형태의 고분이 만들어지고 있어 옹관고분 축조세력을 중심으로 하는 통합된 사회라고 규정하기 어렵다.

    영어초록

    Construction of stone-lined tombs started in the mid-to-late 4th century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Gaya Kingdom region. The stone-lined tombs constructed during the 5th century are distributed mainly in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s and in the upper and middle area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The tombs in the southwestern coastal region share common features, while those in the mid-to-upper part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exhibits lightly more advanced structures.
    The origin of stone-lined tombs can be traced back to prehistoric tombs, but there is no archaeological evidence to decisively support this claim. In fact, some scholars assert that this type of tomb structure was introduced from other regions, noting similarities to stone-lined tombs found in Baekje, Japan, and Gaya. Immigrants, however, can not have built the tombs, as the earlier stone-lined tombs share no single feature originating from a certain region. It is more likely, therefore, that locals around the Yeongsan River created the stone-lined tombs as a new burial method, as those in other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did in the early 5th century.
    The existence of stone-lined tomb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indicates a need to reconsider the conventional views on the ancient culture of the region. It is evident that the stone-lined tombs were constructed before the appearance of stone chamber tombs. This transition in grave structures has often been neglected, mainly due to the emphasis placed on the presence of jar coffin tomb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Given the existence of many different types of tombs in the basin during the 5th century, it is difficult to regard the societies in the region as integrated around the people who constructed the jar coffin tomb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