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古代 榮山江 流域 勢力에 대한 검토 (A Analysis of the Group in the Ancient Youngsan river A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0.02
34P 미리보기
古代 榮山江 流域 勢力에 대한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연구 / 51호 / 69 ~ 102페이지
    · 저자명 : 홍성화

    초록

    本考는 고대 영산강 유역에 실재했던 세력의 실상에 대해 考古學과 文獻學的 자료를 아울러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그동안 영산강 유역의 고대 사회는 1990년대 이후 考古學的 발굴이 가속화되어 백제의 고분과는 다른 양식이 발견되면서 馬韓論 등 백제의 영역으로 인식되지 않는 경향이 있어 왔다.
    그러한 가운데 이 지역에서 倭系의 유적과 유물이 나타나면서 영산강 유역이 단순히 백제와 마한과의 문제라기보다 영산강 유역과 倭, 백제와 倭의 관련성 문제로 좀 더 복잡한 양상이 전개되기 시작했다.
    이에 本考에서는 한반도 서남부에서 발견되는 威勢品에 대한 분석과 石室墳의 변천에 대한 고찰을 통해 고대 영산강 유역은 이 지역의 유력한 在地 수장에게 백제가 威勢品을 사여한 간접지배 방식이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특히 이들 지역에 倭系의 요소로서 관심을 끌었던 前方後圓形 古墳도 倭 왕권이 개입되어 倭人이 조영했다거나 倭系百濟官僚 등 倭人의 무덤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圓筒形土器에 대한 분석이나 초기의 石室墳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도 이들이 단순히 일본에서 도입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한반도와 일본 열도의 상호교류에 의해 전파되었을 가능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前方後圓形 古墳의 문제도 단선적으로 파악하기보다는 상호교류에 의해서 성립된 산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영산강 유역은 백제가 동성왕 이후 실시하였던 王侯制에 의해 통치된 지역 중의 한 곳으로 추정되며, 『南齊書』에서 5세기 후반 面中侯로 제수된 木干那가 통치한 지역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영산강 유역의 일부 고고학적 자료에서 倭系의 요소가 보이고 있는 것은 이 지역이 倭人에 의해 통치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일본 열도와 교류가 잦았던 백제의 木氏에 의해 간접 통치되었던 지역이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인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rcheological data near the Youngsan river(榮山江) and to analyze historical fact of the Group in the ancient Youngsan river(榮山江) area.
    By archeological excavation since 1990s, previous studies had a great notion that the ancient Youngsan river(榮山江) area was not Baekje(百濟) but Mahan(馬韓).
    However, after archeological data connected with the ancient Japanese archipelago was discovered, a diverse and complex range of theories has been raised from academic circles.
    By analyzing prestige goods and the changes of stone-chambered tombs that were discovered in the ancient Youngsan river(榮山江) area, we could find out that Baekje(百濟) had occupied its power indirectly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near the Youngsan river(榮山江).
    Especially, we could find out that the group who build keyhole-shaped tombs was not Japanese(倭人). In the case of cylindrical pottery and stone-chambered tombs, they were creatures by the mutual exchange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archipelago.
    Furthermore, this study showed that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near the Youngsan river(榮山江) in 5-6th century was ruled by "Mokganna(木干那)" in Baekje(百濟) written in Namjeseo(南齊書).
    Consequently, archeological data connected with the ancient Japanese in the ancient Youngsan river(榮山江) area are estimated to be generated by the "Mok (木) family” that communicated with Japan archipelago, not Yamato gover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