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버강 시기 불탑의 형식적 특성과 분류 (Form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s of Pagodas in the Period of Bagan)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6.10
12P 미리보기
버강 시기 불탑의 형식적 특성과 분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25권 / 5호 / 75 ~ 86페이지
    · 저자명 : 염승훈, 천득염, 김소영

    초록

    본고는 지닌 불교적 위상에 비해 그 연구가 미진하다고 생각되는 미얀마 불탑 중 가장 가치있다고 여겨지는 버강 시기의 불탑을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크게 파토의 고찰과 버강 시기 불탑의 형식적 특성 그리고 이 시기 불탑의 형식 분류에 대해 고찰하였고, 이를 통하여 다음의 일곱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자들마다 의견이 분분하였던 파토를 상좌부불교가 힌두교를 포용함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버강만의 독특한 형식의 불전형 불탑으로 봐야 한다고 생각된다. 둘째, 아노라타 왕 즉위 이후 건립된 버강 시기 불탑에 나타난 테라스는 버강 시기 불탑의 특징적인 구성요소로 상좌부불교가 널리 전파되길 바라는 염원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부분이다. 셋째, 쉐산도 제디는 통설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미얀마 정형 양식의 불탑을 대표하는 쉐지곤 제디뿐만 아니라 아난다 파토에도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된다. 넷째, 버강 시기 테라스 위의 종형 탑신 형식의 불탑을 세 부분으로 분류하여 살펴본다면 테라스를 하부, 대좌부터 앙련과 복련이 나타나는 부분까지를 중부, 그 위를 상부로 분류하여 살펴봄이 적절하다. 다섯째, 파토를 버강 시기 불탑의 한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런 형식의 불탑을 사각형 테라스 위의 시카라 모양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다. 여섯째, 미얀마 불탑의 형식을 14가지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의 큰 유형을 전래형, 일반형, 특수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일곱째, 이와 본고의 논지를 바탕으로 버강 시기 불탑을 6가지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생각되며, 이의 큰 유형을 전래형, 일반형, 특수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agodas during the Bagan period, which are thought to be most valuable among those in Myanmar. They have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in spite of their high Buddhist status. It considers the contemplation of Pato, their formal characteristics in the Bagan period and the formal categorizations of pagodas in the same period. Thus, following seven kinds of conclusions are derived: first, researchers provide opinions to the Pato which should be regarded as the Buddhist shrine-type of pagoda with a unique Bagan form, symbolically indicating that Theravada Buddhism incorporated Hinduism; second, the terraces were characteristic components in pagodas, during the Bagan period, which were built after the enthronement of King Anawratha and are thought to symbolically express the wish to widely spread Theravada Buddhism; third, Shwesandaw Zedi seems to affect not only Shwezigon Zedi, a representative standard form of pagoda in Myanmar, but also Ananda Pato; fourth, it is thought to be proper to examine the terraces by classifying them into lower, central(from pedestals to Angryeon and Bokryeon) and upper part, if it intends to divide a pagoda with bell-shaped body on the terraces during the Bagan period, into three parts; fifth, the Pato may be identified as a form of pagoda during the Bagan period, and such a form can be classified as that of Sikhara on the rectangular terrace; sixth, forms of Myanmar’s pagodas can be classified into fourteen kinds of them, and they may be also grouped into transmitted, general and special type; and seventh,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t is thought that the pagodas during the Bagan period may be classified into six forms, and they can be largely categorized into transmitted, general and special ty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