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嵇康의 音樂 審美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i Kang's view of music)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5.06
26P 미리보기
嵇康의 音樂 審美觀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76호 / 59 ~ 84페이지
    · 저자명 : 김용범

    초록

    嵇康(223-262)은 위대한 사상가이자 음악적 재능이 매우 뛰어난 魏晋時代의 名士다. 그는 악기 중에서 琴을 으뜸으로 치고 琴에 精通하였다. 그는 해박한 지식으로 琴에 대한 심오한 이해와 철학으로 음악의 심미성을 표현하였다. 그가 저술한 『琴賦』와 『聲無哀樂論』은 단순히 琴이나 聲音을 논하기 위한 음악이론서가 아니고, 자신의 철학사상과 인생관이 담긴 예술 미학서다. 그의 음악관은 음악과 인간 정감의 상호작용을 예술철학적으로 분석하는 관념으로, 음악 본연의 심미가치를 형이상학적으로 이해하는 老莊철학에 매우 가까운 예술미학이다.
    기존의 유가가 음악의 본질인 조화로움을 통해 윤리, 도덕 및 仁義의 道와 조화를 이루려는 사회의 보편적 도덕규범으로 인식한 것과 달리, 혜강은 음악의 조화를 통해 자각에 의한 개인적 사유와 자연일체를 옹호하는 개성과 性情의 심미성으로 이해하였다.
    혜강이 음악을 가까이 하고 새로운 음악이론을 제기한 것은 당시의 시대적 환경과 밀접하다. 혜강은 당시의 사회를 의롭지 못한 사회로 규정하고, 현실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琴을 뜯으며 道를 담론하며 인간본성의 자유를 희구하는 隱士의 길을 걸었다. 음악은 이러한 삶에서 더 없이 좋은 친구이자 필요한 요소였다.
    혜강의 이상관은 인위적인 것을 배격하고 조화로운 자연과 하나 되는 이상관이다. 그런데 음악 또한 自然之和를 본질로 한다. 그래서 음악의 和音을 통해 현실의 부조화를 비판하고, 음악의 자연적 조화로움을 빌려 자신의 철학사상을 이상화하고 합리화하려 했다.
    요컨대 혜강의 음악 본질에 대한 철학적 접근과 음악 심미성에 관한 인식은 그의 玄學思想에 기초한다. 혜강의 音樂美學은 현학적 사상체계 속에서 형성되었고, 그의 새로운 심미적 자각을 통한 老莊적 미학정신은 위진시대를 거쳐 남북조 시대까지 새로운 예술미학이 형성되는데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영어초록

    Ji Kang(嵇康) is a great philosopher and renowned man with an excellent musical talent of the Wei-Jin(魏晋) era. He thought a lute(琴) the best among musical instruments and was good with it. With his profound knowledge and deep understanding of the lute as well as his philosophy, he expressed the aesthetics of music. His written work, Qin Fu(琴賦) is not a simple theoretical book on music to praise lutes, but a book of aesthetics for art that contains his philosophical ideas and view of life. His view of music is an idea that analyzes interaction between music and human emotions artistically and philosophically. So it is artistic philosophy very close to that of Lao-tzu and Zhuang-tzu, which metaphysically understands music's innate aesthetical value.
    For Confucianism, music's nature or harmony was seen as a universal moral standard of a society trying to be in harmony with ethics, morality and the way of humanity and justice. On the contrary, Ji Kang saw music as individuality and human nature's aesthetics that advocate personal reasoning and the entire nature.
    Why Ji Kang liked music and suggested a new music theory is closely relevant to the environment of the era. Ji Kang defined the society of the age as an unrighteous one and he pursued a hermit life seeking for freedom from human nature while playing the lute and discoursing on human ways. Music was the best friend in that life style.
    Ji Kang's ideal was to reject something artificial and to become unified with the harmonious nature. Music also stands on the basis of harmony. Thus he criticized the disharmony of reality through music's harmony and tried to idealize and rationalize his philosophical ideas through music's innate harmony.
    In short, Ji Kang's philosophical approach to the nature of music and his notion of the beauty of music are based on the ideas of Xuan xue(玄學). His view of music was formed within the system of Xuan xue's ideas. Through self-awareness of aesthetics, his aesthetical spirit similar to Lao-tzu and Zhuang-tzu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forming newly artistic aesthetics through the era of Wei-Jin(魏晋) to the Nan-Bei dynasty(南北朝)..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