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소설에 나타난 회상과 조감(鳥瞰)의 시선-<운영전>・<최척전>・<강로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trospection and the Perspective of Bird’s-eye View in 17th-century Novels-Focusing on Unyoungjeon(雲英傳), Choichukjeon(崔陟傳) and Gangrohjeon(姜虜傳))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9.11
40P 미리보기
17세기 소설에 나타난 회상과 조감(鳥瞰)의 시선-&lt;운영전&gt;・&lt;최척전&gt;・&lt;강로전&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47호 / 97 ~ 136페이지
    · 저자명 : 조현우

    초록

    이 글에서는 16~7세기의 전란 체험이 어떻게 서사화되었는가, 그리고 그러한 서사화와 소설 쓰기 사이에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탐구하고자 했다. 이는 전란의 체험과 그 기억이 소설의 창작 및 향유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2장에서는 전란의 회상에 드러나는 독특한 서술 방식의 문제를 살폈다. 자기 정당성 확보의 욕망에서 기록된 실기 문학에는 과거에서 현재 상태의 원인을 발견하는 사후적이고 소급적인 방식의 인과관계가 나타난다. 또 실기 문학에는 고국과 일본이라는 내셔널한 공간의 분리와 추상적 시간에 대한 동시성의 체험도 발견된다. 이러한 두 가지 특징은 회상되는 과거 바깥의 초월적 위치에서 과거부터 현재의 시간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과정에서 생겨났다. 3장에서는 17세기 소설들 몇 편을 대상으로 그 속에서 발견되는 변모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실기 문학에서 발견된 서술 방식과의 상동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먼저 <강로전>과 <최척전>에서는 소급적 인과관계의 설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로전>에 드러나는 밀지와 강홍립의 역심은 강홍립을 일관된 악인으로 그리고 작자 자신은 억울한 희생자로 형상화하기 위해 사후적으로 도입된 설정이었다. <최척전>의 장륙불은 가족의 최종적 재회를 행복한 결말을 이끌어내기 위해 필요한 부분마다 도입된 설정이었다. 두 소설에 나타나는 이러한 사후적 인과관계의 설정은 결국 과거와 현재의 사건들을 인과적으로 연결하려는 과정에서 생겨났다. <운영전>과 <최척전>에는 동시성의 체험이 나타난다. <운영전>에서 서술자로서의 운영은 회상되는 과거 바깥에 위치하면서 여러 시공간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모두 알고 서술하는데, 이때 서로 다른 공간에서 같이 흐르는 추상적인 시간의 동시성이 발견된다. <최척전>에서 서술자는 최척과 옥영이 재회할 때까지 두 사람의 각기 다른 공간에서의 행동을 번갈아 그러나 동시적으로 서술한다. 이때 서술자는 두 사람이 있는 공간을 모두 조망하는 위치에서 추상적인 시간의 동시성을 서술하고 있다. 4장에서는 바로 이러한 초월적 위치에서의 서술을 ‘조감의 시선’이라는 용어로 명명하고 그러한 시선의 출현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살폈다. 회상담이란 기억의 주체가 자신이 겪은 일 혹은 전란 체험을 진술하는 것이기에 일정한 경계를 갖게 된다. 그 경계는 경계 ‘바깥’을 만들어내는데, 이야기 ‘바깥’에서 기억하고 회상하며 진술하는 어떤 자리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17세기 소설에서 서사적 진행, 즉 사건과 사건의 연결 그 자체에 대한 몰입은 서사의 ‘바깥’에서 그 서사를 진술하고 평가하며 인과적 연쇄를 만드는 어떤 위치에 대한 감각에서 만들어졌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how the wars and the narrativization of their memories correlate to the changes in 17th-century novels. Writings that remember and record war usually take the form of retrospection. In order to retrospect war in the past, we have to need two egos: the past self and the present self. The retrospection is the literary device in a narrative, in which a past event is narrated at a point later than its chronological order in a story. I think that the great change in 17th-century novels is closely related to the birth of a sense of the position in which the whole story can be viewed outside the narrative. In this paper, I named such a position ‘the perspective of bird's eye view’. The perspective of bird's-eye view is an elevated view of an object from above, with a perspective as if the observer were a bird. I have referred to time reversal causality and the experience of simultaneity as a change in the history of 17th-century novels that relates to the perspective of bird's eye view. Time reversal causality is a causal relationship created in an ex post and retrospective way of discovering the cause of the present state in the past. Time reversal causality is very similar to the process of creating a narrative to secure one's legitimacy when remembering and recording the war. It is the process of retroactively creating causality between events for the final purpose of the narrative. Simultaneity arises from experiencing the homogeneous and empty time flowing between two events in different places. Two events which happened simultaneously and even in separate places can link the people involved in those events by this precise simultaneity, and those people share a consciousness of a shared temporal dimension in which they co-exist. The perspective of bird's eye view is found in both narratives that remember the war and 17th-century novels, and this sense of the position in which the whole story can be viewed outside the narrative was the important cause of changes in the 17th-century nov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