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아사 가쓰에의 「鴨綠江」에서 형상화된 내선일체와 그 불가능성 (‘Naisen Ittai' (Integration of Japan and Korea) Shown in Gatsue Yuasa's Novel 鴨綠江(Abrokgang) and it's Impossibili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9.04
26P 미리보기
유아사 가쓰에의 「鴨綠江」에서 형상화된 내선일체와 그 불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20권 / 1호 / 233 ~ 258페이지
    · 저자명 : 우정덕

    초록

    재조일본인 작가 유아사 가쓰에(湯淺克衛)는 조선인은 주인공으로 한 「鴨綠江」을 1943년 2월부터 1944년 1월에 걸쳐 잡지 『綠旗』에 연재한다. 당시는 조선인을 전쟁에 동원하기 위한 이데올로기로서 ‘내선일체’가 강조되던 시기였다. 유아사 가쓰에를 포함한 재조일본인 작가의 위상은 이 시기에 높아졌고, 그들에게는 내선일체를 조선인에게 납득시켜야 한다는 의무가 부가되었다. 그러나 내선일체는 민족 간 명확한 위계가 존재하였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었으며, 이는 재조일본인 작가들의 정체성을 위협한다는 측면도 있었다. 「鴨綠江」에서 유아사는 내선일체를 형상화하고자 하는데 그 모순을 가리기 위해 주인공 오오야마를 만주로 보내 일본인을 소거시킨 환경에서 만인들을 대상으로 계몽의 역할을 맡긴다. 그러나 그것은 조선인이 일본 국민이 된다는 점에서는 내선일체적인 것이었으나, 만주에서도 조선인은 일본인의 계몽의 대상이라는 점 오오야마가 내선일체를 강요하는 모순을 만인을 상대로 반복한다는 점에서 불완전한 것이었다. 결국 작품에서는 조선인이지만 오오야마가 겪은 민족과 국가 사이의 갈등을 겪지 않고 전쟁 수행의 중요성을 배우며 자연스럽게 일본 국민이 되는 어린 조카 만세의 세대에 내선일체가 이루어질 것이라며 그 완성이 유예된다. 이것은 역으로 내선일체의 불가능성을 드러내는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작가가 가진 식민주의적 시선, 그리고 반식민주의적 시선이 결코 융화될 수 없는 상태로 공존하고 있음이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writer Yuasa, Gatsue is a Japanese resident in Korea who had lived in Korea since very young. He wrote a novel named 鴨綠江(Abrokgang) from February 1943 to January 1944. write a novel It serially in a magazine 綠旗(Nokki). He wrote it when the ‘Naisen Ittai' (Integration of Japan and Korea) was forced to Korean. Yuasa was one of the Japanese writer residents in Korea who take a role that teach Korean ‘Naisen Ittai' and make them believe it, But in Korea, Japanese and Korean people placed very deferent hierarchy in the social system. So ‘Naisen Ittai' is impossible to be real. Yet Yuasa try to make ‘Naisen Ittai' reasonable in 鴨綠江(Abrokgang). So he make main character who is Korean and lost his hometown due to giant dam which is built to make force development contribute to war. And the main character move to Manchuria where is no Japanese people to discriminate against him and Korean people. In Manchuria main character feel like he is one of the Japanese citizen and not the Korean who discriminated by Japanese. But there is still some Japanese character who lead him, and he discriminate Machurian as well as Japanes did to Korean. He know he can truly be a Japanes due to system. So in this novel Manse(maim character's little nephew) is shown as new generation who can be a 'real' Japanese citizen. Because Manse is getting education as Japanese citizen, But it's a trick which covers a truth that Korean people is going to never allowed to be a Japanese citizen. So this novel shows us that ‘Naisen Ittai' is an ideology never can be real in a paradoxical way and also Yuasa has colonialism and anti-colonialism at the sam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