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京江 지역 실태와 江民의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the Han River and Gang Min(江民) in late Joseon Dynasty Period)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8.02
35P 미리보기
조선후기 京江 지역 실태와 江民의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98호 / 7 ~ 41페이지
    · 저자명 : 유승희

    초록

    본 논문은 조선후기 도성 밖 강민의 실태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조선전기 한강은 도성 배후 하천으로서의 기능이 컸다. 그렇기 때문에 조선초기부터 한강은 서울의 강 즉, ‘경강’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민간에서는 경강의 주요 중심지를 근거로 삼강, 오강, 팔강 등으로 불렀다.
    이러한 경강 주변 촌락은 한성부 5부의 행정체제에 있었던 도성 안과는 차이가 있었다. 경강의 촌락들은 한성부 행정체계에 포함되었지만 조선후기 여전히 ‘성중5부’, ‘경중5부’라는 표현처럼 도성 안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행정 관청의 관리도 도성 안과 경강에 균일하게 적용, 운영되지 않았다. 숙종대 오가작통 조직을 이용해 도적 및 유민방지, 풍속 교화 등을 강화했으나, 경강지역에는 시행되지 않았다. 조세수취 또한 人戶는 한성부가 맡아 강민의 坊役을 징수한 반면, 토지는 한강진 주변은 양주군에서, 용산은 고양군에서 담당했다.
    조선후기 한성부 도성 안과 경강의 이분법적 인식은 한성부 민을 호칭하는 방식에서도 나타났다. 한성부 민은 京民과 江民으로 구분되었다. 이들의 경제적 처지는 경민은 다양한 경제기반으로 생활이 넉넉한 반면, 강민은 운부역에 한정된 열악한 빈민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강민들은 자신의 경제적 침탈을 해결하기 위해 강민 간 상호 대립했으며, 공권력을 이용한 관속과 충돌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자신의 경제권이 침탈 받지 않도록 상언, 격쟁, 소지 등을 통해 억울함을 호소하였고, 이러한 행위는 중앙정부나 도성 안 사람들에게 ‘소송을 좋아하는 사람’, ‘이익만을 일삼는 모리배’라는 인식을 주었다. 따라서 강민은 도성 안 경민에게 ‘강사람’으로서의 대우를 받는 것이 아니라 ‘강가에 사는 놈’으로 천시를 당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has examined the actual life and livings conditions of residents near the Han River outside the capital city of Joseon Dynasty in its late period. The Han River in early Joseon Dynasty period played a key role as a river behind the capital city. This is why the Han River was called the ‘Gyeong Gang(京江)’ literally meaning the river of Seoul from the early stage of Joseon Dynasty.
    The villages in the vicinity of Gyeong Gang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apital city, which is within the administrative jurisdiction of Hanseongbu, or the capital city of Seoul. The officials of the administrative office were not uniformly applied or operated between the capital city and the Gyeong Gang.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the organization called the Ogajaktong(五家作統) was form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robberies and drifting migrants and to reform the custom but did not extend its reach as far as the Gyeong Gang area. When it comes to tax collection, Hanseongbu took charge of imposing compulsory labor on villagers near the Han River while land taxes were imposed by different local authorities, such as Yangju-gun and Goyang-gun The dichotomous perception of Hanseongbu was also demonstrated by the way of naming the people of Hanseongbu, which was split into Gyeong Min(京民) and Gang Min(江民), literally meaning the people of Seoul and the people of river, respectively. They were sharply separated in terms of economic status as well with Gyeong Min being much better off than Gang Min.
    In a bid to resolve the economic deprivation, these Gang Min had confrontation with each other and sometimes conflicted with local officials using governmental authority. They frequently appealed to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people of the capital city about their sufferings through various means, including Sangeon(上言), Gyeokjaeng(擊錚) and Soji(所志), which gave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people within the capital city an impression of being lawsuit seekers or whiners pursuing their own interests. Therefore, Gang Min were disregarded with contempt dubbed as the "river bums" instead of being respected as "river villag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