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公山城 출토 칠피갑옷 銘文資料의 재검토 (Review of Inscription Data on Lacquered Leather Armor Excavated from Gongsan-seong in Gongju)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9.06
38P 미리보기
公山城 출토 칠피갑옷 銘文資料의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22호 / 159 ~ 196페이지
    · 저자명 : 이현숙, 양종국

    초록

    공산성 출토 漆皮갑옷은 백제 웅진성인 공주 공산성의 백제시대 저수시설 내에서 마갑-무기류-갑옷이 나란히 포개지듯 2세트가 매납된 후, 그 위에 100㎝ 정도 두께의 볏짚이 덮인 상태로 출토되었다. 저수시설의 상면에는 쌀, 조, 밤 등과 말뼈를 포함한 각종 유기물, 그리고 목기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그 위에 건물지 폐기층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마갑-무기류-갑옷으로 구성된 武裝具 2세트를 나란히 저수시설에 매납한 후 그 위를 덮어서 은닉하는 것과 같은 의도적인 행위는 儀禮의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는 고고학적 증거로 판단된다.
    특히 칠피갑옷에서 명문이 확인되었는데, 명문은 갑옷을 제작한 이후 별도로 기록한 것이다. 칠피갑옷에서 현재까지 확인된 명문이 있는 소찰은 약 17점을 계량할 수 있다. 3㎝ 너비의 소찰이 겹쳐서 배치되는 것을 감안하여 1.5~2㎝ 정도가 밖으로 노출된다고 해도, 명문이 기록된 범위는 적어도 가로 약 36㎝×세로 7㎝ 정도이다. 또한 1개의 小札에 완전한 형태로 문자가 확인된 경우 6~7자가 縱書로 배치되는 점을 고려할 때, 6자씩만 計上해도 약 102자 이상의 글자로 구성된 長文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칠피갑옷의 출토 정황상 명문의 위치는 身甲 상단의 표면으로 추론되는데, 결국 갑옷 표면의 한쪽 가슴 부분은 명문으로 가득 차 있었다고 볼 수 있다.
    銘文의 전체 내용은 알 수 없으나, 갑옷과 연관된 敍事的인 기록을 남긴 것이라는 점을 살필 수 있다. 즉 갑옷 제작의 목적을 살필 수 있는 역사적 정황의 근거가 되는 ‘蓋州’라는 지명과 더불어 갑옷을 제작한 공간으로서의 官署名과 갑옷과 관련된 행위에 참여한 사람들의 官職과 人名, 갑옷을 둘러싼 행위와 관련된 날짜인 貞觀19년(645) 4월 21일 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백제가 당나라와의 관계에서 645년 갑옷을 만든 후 준비 과정과 행사 등의 전반적인 내용을 기록하여 15년 동안 공산성에 보관해오다가, 660년 7월 18일 의자왕이 당나라에 항복하려고 공주를 떠나기 전에 공산성 저수시설에 매납 했을 가능성을 추론하였다. 즉 갑옷의 제작→명문의 작성→갑옷의 매납은 모두 별개의 과정을 거친 행위로 이해하였다.
    명문이 있는 칠피갑옷은 한반도에서 처음 출토된 중요한 유물이다. 따라서 향후 갑옷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고증과 복원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칠피갑옷이 출토된 유적 현황과 명문에 대하여 정밀한 분석 등의 복합적인 노력을 통하여, 백제시대 공주 공산성에 칠피갑옷이 묻히게 된 역사적 정황을 포함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o the present time, the Lacquered Leather Armor excavated from Gongsan-seong(seong: castle) has been the focal point of the disputes on national identity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inscription from early times that it is prudent to say that there has been no opportunity of systematic proof on the relics thereof.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it has been the time that required physical time in inevitable means. There is an extremely difficult work of archaelogocial conjunction toward the damaged metal scale on armor in the future, but those inscription data that can be found out as the subject of relics for conservation have mostly been confirmed. Therefore, separately from the archaeological restoration works on relics, the inscription data that have been the basis of controversy to this point is disclosed first in a way of obtaining assistance from the academic circle for interpretting Lacquered Leather Armor in the days to come.
    After burying two sets of horse armors-weapons-armors as folded side to side within the reservoir facility during the Baekje Era of Gongju Gongsan-seong that was referred to as Woongjin-seong of Baekje Kingdom, it was excavated in the condition of covering with the thatch bundles of approximately 100㎝ in thickness. On the upper part of the reservoir facility, there were various organic substances, including, rice, millet, chestnut and others as well as horse bones, and the wooden-wares, with the disposal layer of the building site on the top of it. Therefore, such an intended act of burying 2 military equipment sets consisting of horse armors-weapons-armors in the reservoir facility side-by-side, and cover the top as if they were concealed would be considered as an archaeological evidence to presume the possibility of ritual ceremony.
    In particular, a inscription was confirmed on the Lacquered Leather Armor and the inscription was separately recorded after the armor was manufactured. There are approximately 17 inscriptions confirmed from the Lacquered Leather Armor to this point. Considering the metal scale on armor with 3㎝ of width arranged in overlap, and if it is exposed for about 1.5~2㎝ to outside, the range of the inscriptions recorded about be around 36㎝ in width×7㎝ in length. In addition, in the event that characters in complete shape in a metal scale is confirmed, considering that 6~7 characters are arranged in writing, it is shown to be long writings consisting of approximately 102 letters or more even if it is assumed to be only 6 letters for each. In addition, under the circumstances of excavating the Lacquered Leather Armor, the position of inscription is presumed to be the upper part of the bodily armor surface and this is ultimately shown to have full of inscription for the chest part of the armor surface.
    The full contents of the inscription would not be known, but it is easily consider that it is the record in lyrics related to the armor. In other word, together with the area name of ‘Gaeju(蓋州)’ that would be basis of historic circumstance to contemplate the turning point of armor manufacturing, it has reviewed the name of government agency as the space of manufacturing the armor, title and name of those persons participated in activities related to the armor, and April 21, 645 (Jeonggwan 19) as the date related to the activities around the armor. Through this finding,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Baekje Kingdom made the armor in 645 under the relationship with the Tand Dynasty and recorded the overall contents of preparatory process, event and others to keep the same in Gongsan-seong for 15 years, and before King Uija-wang left Gongju to surrender to the Tang Dynasty on July 18, 660, he could bury it in the reservoir facility of Gongsan-seong. In other word, the acts of manufacturing of armor→preparation of inscription→burial of armor was the process going through separate individual process.
    The Lacquered Leather Armor with inscriptions are important relics excava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re is a need of studies on historical verification and restora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type of the armor in the future. Furthermore, through the integrated endeavors of precise analysis and others with respect to the status of relics excavated with the Lacquered Leather Armor and inscriptions, it is expected to have various studies including the historic circumstances to excavatge the Lacquered Leather Armor from the Gongju Gongsan-seong during the Baekje Kingdom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