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천왕 갑옷의 의미 재고 (Reconsideration of Iconography of Lokapala in Armo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4.06
22P 미리보기
사천왕 갑옷의 의미 재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보 / 42호 / 121 ~ 142페이지
    · 저자명 : 심영신

    초록

    본고에서는 인도식 복식을 벗고 중앙아시아에서 획기적으로 착용하기 시작한 사천왕의 갑옷에 대해 과연 그 종교적·문화적 의미가 무엇인지 새로운 해석을 시도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갑옷이 불교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애초에 사천왕상에 갑옷을 적용하기 시작했던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갑옷은 어떤 의미의 복식이었는지 살펴보았다.
    갑옷과 활·화살, 검이나 창과 같은 무기는 불교 경전에서 자비와 선정, 지혜와 같은 불교의 근본적인 덕목을 상징하고 있다. 대승불교의 핵심적 존재인 보살이 갑옷을 착용한 예를 통해 갑옷은 사천왕의 대승적 존재로서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상징물이라 볼 수 있다. 즉 사천왕이 보살도(菩薩道)를 품고 불법(佛法) 수호를 통해 중생을 보호하고자 하는 대승적 존상으로 재탄생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상징물이 사천왕의 의복과 지물로 채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중앙아시아에서 새로운 도상의 창안에 책임이 있었던 사람들은 또한 갑옷이 오히려 사천왕의 신성성을 드러낼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추정은 중앙아시아의 신장들이 착용하고 있는 갑옷이 왕이나 여왕과 같은 상층의 인간들과 공유되고 있었다는 사실로부터 설명할 수 있다. 중앙아시아에서 사천왕이 착용한 갑옷이 왕과 왕후의 복식이었다는 사실은 인계(人界)의 특별한 존재인 왕처럼 사천왕이 보살도를 지닌 대승의 특별한 존재로 규정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Lokapala, who traveled a long way from the Indian homeland through Central Asia, gradually transformed into East Asian deities by changing their dress to Tang armor and by taking menacing poses. In terms of results, the change from noble to warrior seems epochal. This paper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epochal changes of Lokapala’s iconography from Indian noble type to warrior type.
    In an effort to explain such a distinction, the paper tries to approach it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at of previous scholarship. I focus as two possible causal phenomena of the transformation on development of Buddhist traditions and on what it really meant when they started to wear armor in Central Asia in the first place. To meet the goal, I investigate the religious context for armor and weapons for Lokapala; I differentiate the Lokapala cult in the Mahayana and Hinayana traditions. Armor,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East Asian Lokapala, actually is figured as the Mahayana path. In regions where Indian king-like Lokapala images are popular, such as Southeast Asia, the dominant Buddhist tradition is not Mahayana.
    When the deities began to wear armor in Central Asia, the artists seemed not to have the intention to make the deities look like warriors. It seems likely that people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new iconography in Central Asia thought that armor could reveal the divine status of Lokapala. This assumption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armor of these deities in Central Asia was shared with other high-status humans such as kings and quee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