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말선초의 금동불감 연구- 순천 송광사 高峰國師 불감을 중심으로 (A Study on gilt bronze Buddhist shrine during from late Goryo to early Joseon period - focused on the golden shrine of King’s advisor Gobong at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ci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3.03
26P 미리보기
여말선초의 금동불감 연구- 순천 송광사 高峰國師 불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15권 / 101 ~ 126페이지
    · 저자명 : 정은우

    초록

    불감이란 불상을 안치한 감실로서 고려시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불감의 종류는 매우 많아 호신불을 넣어 가지고 다니는 5cm정도의 작은 불감에서부터 10-20cm 정도의 불상들을 넣어 봉안하는 비교적 큰 규모의 불감 까지 다양하다. 재료는 금동제부터, 은제, 나무 등 다양하지만 금동제 불감은 고려부터 조선초기에만 등장하는 시기성을 보인다.
    순천 송광사에 전하는 고봉국사(1350-1428년) 원불로 알려진 금동불감은 높이 25.3cm로 비교적 작은 크기다. 일반적인 불감과 달리 내부에 따로 불상을 안치하지 않은 점과 불감 상부 전면을 터키석과 수정 등 보석으로 장식한 점 그리고 내부에 별도의 금동판에 불상을 조각하여 봉안한 점 등에서 매우 이레적인 형식을 보인다.
    주존불은 금은판에 타출로 부조하였는데 비로자나, 아미타, 미륵의 삼세불로 추정되는 불상을 상단부에 배치하고 그 협시인 문수와 보현, 아난과 가섭은 그 밑에 두었으며, 여닫이문의 앞과 뒤에는 각각 금강역사와 관음, 지장보살상이 서 있는 독특한 구성이다. 이 중 삼세불은 1363년 제작의 금강경변상도와 같은 판본과 유사하며, 경천사지10층석탑의 1층탑신 삼세불회를 비롯하여 원각사지 삼세불회 등과 비교된다. 그리고 보현과 문수보살, 관음과 지장보살이 함께 등장하는 배경은 나옹화상 게송의 내용과 부합되어 주목된다. 즉 나옹국사에서 상좌인 고봉화상으로 이어지는 화엄교학과 염불이 결합된 사상적 배경이 불감에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존상에 따라 각기 다른 재료를 이용한 점도 독특한데, 불감의 주존격인 삼세불과 협시보살은 금과 은을 이용하여 부처의 영원성을, 이를 지키는 금강역사상은 동을 이용하여 존격의 차이를 두는 종교적 상징성을 나타내었다. 제작시기는 관음, 두건을 쓴 지장, 삼세불과 문수, 보현의 협시보살상 등의 도상적 특징 그리고 어자문 등의 문양에서 고봉국사(1350-1428년)의 말년에 해당하는 14세기말에서 15세기초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전각형 금동불감은 고려시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것으로 고려적 의장으로 조형화된 작품이다. 천은사 소장의 전 나옹화상 금동불감처럼 안에 봉안된 불상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장치를 두거나 후뷸탱과 불상을 봉안하여 마치 불전을 연상시키는 점은 승려들이 옮겨 다니면서 예배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이해된다.

    영어초록

    A Buddhist shrine is a shrine for a Buddhist statue, which was built form Goryo dynasty. There are various different kinds of Buddhist shrines, from handheld small one, sized 5cm, with a fire protecting human from evil to large one with Buddhist sculpture sized 10~20cm inside shrines. Although material is various such as gilt bronze, silver and wood, gilt bronze Buddhist shrine was only shown at early Joseon period.
    According to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city, the golden Buddhist shrine known as worship Buddha of King’s advisor Gobong (高峰國師 ; 1350-1428) is a small one sized 25.3cm. The shrine showed uncommon peculiarities such as no Buddhist sculpture inside compared to other general ones, jewel decoration on the upper front side with precious stone as turquoise and crystal, and Buddha stature carved on the separate gilt bronze plate to enshrine inside shrine.
    Main Buddha statue was casted on the golden silver plate, and showed peculiar form as following. Buddha statue assumed Three Buddha sculptures with Vairochana, Amitabha and Maitreya were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and Attandance Bodhisattvas with Manjusri, Samantabhadra, Ananda and Kasyapa were located on the lower part. Also there were Vajrapani, Avalokitesvara, Ksitigarbha were stood in front of or back side of door (openning and shutting). Three Buddha sculptures are similar to xylography book of Diamond Sutra painting built in 1363, and compared to Three Buddha sculptures on 1st floor body of 10th floor stone tower at Gyungchunsa and Three Buddha sculptures(三世佛會) of Wongaksa temple. It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that the background of appearance altogether with Samantabhadra and Manjusri, Avalokitesvara and Kisitigarvawere the same as that of Buddhist poet(偈頌) of portraitist Naong It is understood that gilt bronze was derived from the idea background combined with a Avatamsake theory(華嚴敎學) linked from King’s advisor Naong to portraitist Gobong and a prayer to Buddha.
    It is also special that different material was used depending on Buddha statues. It also demonstrated meaning of Buddhist religion that Three Buddha sculptures of main body in Buddhist shrine and Attandance Bodhisattvas symbolized eternity of Buddha by using gold and silver, and Vajrapani symbolized dignity difference by copper. It is assumed that the manufacturing period was in early Joseon dynasty corresponding to end life of King’s advisor Gobong, which was calculated by the analysis of iconography peculiarities such as Avalokitesvara, Ksitigarbha put on a hood, Three Buddha sculptures and Manjusri, Samantabhadra and the careful review of pattern of spawn.
    A royal palace typed gilt bronze Buddhist shrine was manufactured in Goryo dynasty and became modelling with decorative design of Goryo style. As shown in gilt bronze Buddhist shrine of portraitist Naong belonging to Chuneunsa temple, the enshrined inner Buddha statue was fixed by lockup device. Also Buddhist painting in the background(後佛幀) and Buddha statue were enshrined inside which was reminded of Buddhist temple and understandably designed to pray by monks as they mo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