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플로우로 매개된 브랜드 스토리 특성이 브랜드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Perceived Brand Story Characteristics on Brand Intimacy Mediated by Story Flow)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09.07
22P 미리보기
플로우로 매개된 브랜드 스토리 특성이 브랜드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마케팅학회
    · 수록지 정보 : 마케팅연구 / 24권 / 2호 / 109 ~ 130페이지
    · 저자명 : 이원준, 이한석

    초록

    스토리는 인간이 학습하고 커뮤니케이션하는 기본적인 방식으로 오랜기간 동안 상업적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소비자와 자사 브랜드간의 관계를 강화하려는 기업들에 의하여 더욱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브랜드의 스토리는 그 자체로서 소비자에게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해당 브랜드와의 정서적인 유대감 형성을 촉진하고 소비자의 상상을 자극함으로서 고객을 흡인하는 강력한 힘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의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브랜드 스토리의 주요한 특성과 브랜드 친밀감을 중심으로 양자간의 관계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브랜드 스토리의 즐거움, 이미지 정교화, 스토리 관여도는 플로우 경험의 매개를 통하여 브랜드 친밀감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 consumer psychology, storytelling has been recently discovered as an important tool for understanding consumers deeply(Escalas 2007; Holt and Thmpson 2004). People instinctively think in terms of story or narratively rather than argumentatively or paradigmatically(Schank 1990; Weick 1995). Storytelling is more than an entertaining way to get attention. People memorize and retain myriad of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story because that is natural way of learning and people see image and hear the sounds, and feel the emotions.
    Many companies are trying to use the power of storytelling as one of their marketing tools. In communication tools, Simmons(2001) proposed that storytelling is 'pull' strategy in which customers a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experience and help managers deliver direction, information, and inspiration to their customers more powerfully than a logical argument. For most marketers, storytelling as a marketing tool is becoming a must. But for some people, storytelling is considered as a waste of time. It is a mere passing marketing fad, just like all the other passing fads that enjoyed their moment only to evaporate rapidly(Furnham 2004). And storytelling is dangerously unscientific and its contemporary popularity merely serves to further undermine marketing's hard-edged aspiration (CIM 2003).
    But until now there is no enough research for resolving the conflict about the importance of stories and storytelling.
    This paper explores how storytelling can be used by business managers of marketing brands. Brand managers who are looking to move beyond the reliance on traditional marketing tools should explore storytelling and its effect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tend prior research on storytelling and brand by focusing on the story-brand relationship through empirical research.
    In this research, we designed a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s characteristics and brand. We focus on perceived story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consumer characteristics as determinants of storytelling characteristics. Then examine the effect of storytelling on brand characteristics. Especially we examine whether the flow state are likely to perform as a mediator.

    Data collection proceeded through the use of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a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of students and general citizens in Korea. We gathered samples from metropolitan area in Korea and samples consist of 219 respondents.
    The research model fo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tory's characteristics on brand intimacy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literature. This model includes story flow as the mediating factor of the relationship.

    GFI(.891), CFI(.952), SRMR(.068) indicate satisfactory model fit. Therefore, further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s were conducted.


    These results show several explorative insights that have potential for further research and understanding in the area of storytelling and brand marketing. This research also has some limitations.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more of extensive factors of story and br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