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학교생활적응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Juvenile’s Inter-Relationship and Adapting School Life : Focus on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2.03
26P 미리보기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학교생활적응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수록지 정보 : 유라시아연구 / 9권 / 1호 / 273 ~ 298페이지
    · 저자명 : 김희진, 최장원, 이지현, Atterraya, Madhu Sudhan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인관계, 즉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그리고 부모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어느 정도의 상대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대인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청소년 자존감의 수준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이는 부모, 친구, 교사와의 관계가 각각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상대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하고, 이러한 관계의 문제에서 비롯된 학교생활적응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찾기 위한 시도이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자존감은 청소년의 적응을 위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변수로서, 자존감에 대한 개입은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개입의 폭을 증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근거를 가지고 청소년 자존감을 조절변수로 투입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08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생 및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소년들의 친구관계 및 학교생활에 관한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가 보고식 설문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본 자료 중 불충실한 응답을 제외한 2,176 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대인관계정도 평균을 비교해 볼 때 또래관계의 정도가 3.1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부모와의 관계 2.96, 교사와의 관계가 2.22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또래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모두에서 관계의 정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존감이 높아질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또래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정도에서는 자존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유일하게 교사와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정적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대인관계 즉,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생활적응에 문제를 보이는 청소년의 경우, 3가지 관계영역의 관계정도가 어떠한지를 우선 살펴보아야 할 것이며, 청소년 상대적으로 취약한 관계영역을 발견하여 그 영역에 보다 주력한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3가지 관계 영역에서 모두 취약한 청소년에게는 관계정도의 향상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 및 평가와 포괄적인 상담 및 개입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둘째, 교사와의 관계로 인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문제가 있는 청소년의 경우 교사와의 관계개선을 위한 노력과 함께 자존감 향상을 위한 개입을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교사와의 관계정도가 낮아 학교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에게는 교사와의 관계 개선을 위한 개입 외에도 자신의 성격, 능력, 가치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자존감 향상을 위한 개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자존감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치료나 해결중심치료 등의 효과성이 보고되고 있는바, 적절한 프로그램을 선별하여 실시하고 그러한 프로그램의 효과성도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청소년들의 자존감과 대인관계에 관한 조사를 통해 문제가 발견되는 청소년에 대해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사례관리를 실시함으로써 그 중 학교생활 부적응이 나타난 학생들에게는 치료적 개입을, 아직 부적응이 드러나지 않았지만 그러한 요소가 내재해 있는 학생들에게는 예방적 차원의 개입을 해야 할 것이다. 향후 필요한 후속연구들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영역의 세부 하위 관계적인 속성들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하게 파악하여 관계의 개선을 위한 개입시에 관계의 어떠한 측면들에 주력한 상담 또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또래와의 관계나 부모와의 관계에서와는 달리 교사와의 관계와 학교생활적응에서만 조절효과를 보인 것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juvenile interpersonal relations by the factors which affect juvenile school adapting matter. Then, it tri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juveni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school adapting issue by dividing into 3 groups of their relationship pattern. 3 groups consist of their relationship with peers, teachers and parents. In addition to, it tri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self-esteem level on adapting to school life. This is an attempt to compare what types of relative effects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s and teachers have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to look for methods that can resolve school life adaptation issues arising from such relationship. According to precedent studies, self-esteem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must be considered for the adaptation of youths. So, self-esteem was inserted as a moderator variable. This study was done based on the survey “research of juvenile friendship and school life”, which was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2008. The data of this research is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zed the best answered 2,176 data among them. Essential outcome of the study is as follow. First, primary average of juvenile inter-relationship with peer group is 3.12 point, 2.96 with parents, and 2.22 with teachers. Second, it reveals that each of the relationship levels (peers, teachers and parents) gets rises, the level of adapting school life also gets rises. Third, juvenile self-esteem has meaningfully influenced on raising level of school adaptation. Statistic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the level of relationship with peers, parents and level of adapting school lives.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the level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level of adapting school life proved that the level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have positive effects on level of adapting to school life. This study presents practical suggestions for intervening in school adapting issue based on the results. First, to improve juvenile adapting to school life, it has to be preceded improving juvenile inter-relationship such as relationship between peers, teachers and parents. In case of youths who seem to have problems on the school life adaptation, the level of relationships among 3 types of relationship be examined first. Then, we have to find relationships that youths are comparatively vulnerable. In particular, for youths who are vulnerable in all 3 types of relationship, systematic analysis and evaluations, comprehensive counselling and interventions are essential for improving the level of relationships for youths. Second, to improve adapting to school life for juvenile, it is requested to proceed simultaneously, the intervention which is raising juvenile’s self-esteem improving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 In other words, for youths who are having difficulties with school life adaptation due to a low level of relationships with teachers, intervention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first. In addition, interventions should be made to improve self-esteem so that youths can make positive evaluations of one's personality, ability and value.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ies and solution-focused therapies for increasing self-esteem is being reported, and there is a need to conduct appropriate programs and verify such programs' effectiveness. In addition, focused case managements for youths who are shown to have problems through investigations on self-esteem and personal relationships should be conducted. Among such students, treatment interventions should be applied to those who have school life maladjustment, and preventive interventions should be applied to those students who have yet to show maladjustment but have such elements within.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that are required in a future. First, effects on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detailed sub-properties of relationships with peers, teachers and parents that affect school life adaptation should be grasped. Next, studies should be taken place to grasp the cause of moderating effect that was shown between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school adaptation life, which was not shown in relationships with peers or par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라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