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s among Media Characteristics, Presence, Flow, and Learning Effects in Augmented Reality Based Learni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08.12
31P 미리보기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24권 / 4호 / 193 ~ 223페이지
    · 저자명 : 계보경, 김영수

    초록

    본 연구는 미래기술이 집약된 새로운 매체인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이 어떠한 매체적 특성 요인으로 인해 학습효과를 갖게 되는지 핵심요인을 규명하고 요인 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학습 효과에 직접 또는 간접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감각적 몰두’, ‘탐색 가능성’, ‘조작 가능성’, ‘현존감’, ‘학습몰입’ 요인을 선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 규명을 통해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 활용의 효과성 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의 물의 순환 과정에 대한 내용을 기초로 개발된 한 증강현실 기반 시뮬레이션 콘텐츠를 활용,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연구를 실시였다. 연구 결과, 탐색 가능성 요인을 제외한 감각적 몰두, 조작 가능성, 현존감, 학습몰입의 요인들이 모두 만족도, 지식·이해, 적용의 학습 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선행연구를 통해 기 예측되었던 경로 외에 ‘조작 가능성’ 요인의 경우, ‘만족도’와 ‘적용’ 측면의 학습효과에 있어서도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이음새없이(seamless) 연결해주는 증강현실의 실물형 인터페이스(tangible user interface)를 통한 조작성의 강화가 학습 만족도와 적용 부분의 성취도에 있어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학습효과 측면에 있어서는 지식·이해 요인보다 적용 요인에 증강현실 매체의 활용이 더 큰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study’s goal is to examine which factors of augmented reality(AR), the fruit of future technologies, help to improve learning effects and reveal the relationships of those factors. To that end, we studied preceding researches and selected five factors which can influence learning effects in augmented reality based learning. We discovered the effectiveness structure of media utilization in augmented reality based learning through investigating relations of those factors. The five factors selected were: sensory immersion, navigation, manipulation, presence, and flow.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90 fifth graders at two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where the school facilities and class environments were similar. A total of 27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the questionnaires of 4 absent students, 12 incomplete ones, and 2 untrustworthy ones. The program this study used was titled, “Journey of Water”, jointly developed by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and the digital experience center of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Journey of Water” program was designed for fifth graders and its contents were experiment activity type learning contents of tangible manipulation in which students could observe and experiment the circulation process of water including its evaporation, precipitation, and flowing. This study went through the process of designing a theoretical model through analyzing preceding researches, developing measuring tools, holding augmented reality based classes, conducting survey and achievement evaluations, and confirming a final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confirmatory factor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ll the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and achievement evaluation was processed using SPSS 12.0 for Windows, and AMOS 5.0 was used to verify a hypothetical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with the exception of navigation, all the factors such as sensory immersion, manipulation, presence, and flow had meaningful influence on satisfaction, knowledge & understanding, and learning effects of application. In particular, manipulation factor was proved to have a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and the application aspect of learning effects, indicating that strengthening manipulation through the tangible interface of augmented reality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learning satisfaction and application fields. In addition, sensory immersion was proved to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immersion in learning and learning effects. In terms of learning effects,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media was shown to have more influence on application factors than on knowledge & understanding. Based on such study results, we propose the following tas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