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VG 좀비 게임의 공포 복합 요소가 플레이어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Horror Complex Elements of AVG Zombie Game on Player Immersion)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1.09
12P 미리보기
AVG 좀비 게임의 공포 복합 요소가 플레이어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39권 / 4호 / 355 ~ 366페이지
    · 저자명 : 이금준, 조동민

    초록

    본 연구는 2021년 6월부터 시작되었다. 최근 몇 년간 AVG 좀비 게임이 발전하면서 해당 장르에 관해관심을 두는 플레이어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변화와 함께 게임의 세대교체(Iteration)의 속도도 가속화돼 게임(game)에 대한 플레이어들의 품질적인 요구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AVG 게임의 시각적 충격과 화면의 리얼리티(reality)는 한층더 높은 몰입감을 가져다주는데 이는 플레이어들에게있어 매우 중요한 체험감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자는 게임을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몰입감을향상할 수 있는 요소를 모색하기 위해 해당 연구를시작하게 되었다. 좀비 게임은 공포, 생존, 슈팅(shooting) 등을 결합하여 제작한 게임으로 플레이어들은 게임을 체험할 때, 다양한 심리적 반응을 받는다. 예를 들어 스릴감, 공포감 등이 있으며, 게임에는낯설고 어둡고 신비로운 장면들이 등장한다. 이 외에도 위험하고 공격적인 좀비도 나타나는 것으로 위에서 언급한 요소들은 모두 공포적인 의미와 관련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공포를 접목한 요소가 게임의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그리고 어떠한 복합적인 공포 요소가 플레이어(Player)의 몰입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어떠한 요소가 적은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한다. 또한, 데이터를 추출해 건의를 제시한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터뷰(interview)와 설문조사를 통해 좀비 게임에서 31개의공포적 요소를 추출하고 SPSS 탐색적 요인 분석법을통해 장면, 전투, 체력 게이지, 좀비 속성, 소리(sound) 등 5가지의 차원(Dimensionality)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C Jennett & AL Cox 2008)의 몰입감 설문조사를 참고하고 탐색적 요인 분석법을 통해 시공간 분리, 즐거움, 감정, 통제, 도전, 정신집중 등 6가지의 차원(Dimensionality)으로 구분하였다. 셋째, AMOS 확인적 요인 분석법을 통해 데이터의 유효성을 재확인하였다. 넷째, 경로 분석법을 통해 공포적인 요소는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 모델에 양호한 적합성을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동시에 공포적인요소가 몰입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며, 그 영향의 크기에 따라 순위를 매겼을 때 좀비속성은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공포적 요소였다. 다음으로는 전투, 장면, 체력 게이지, 사운드(sound) 순서이다. 게임 디자이너(Game Designer)들은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더욱 뛰어난 체험감의 게임을제작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started in June 2021.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AVG zombie games, the number of players focusing on this type of games has increased. Meanwhile, as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 the iteration of games becomes faster and faster, and players have a higher and higher demand for the quality of games. AVG games provide a deeper sense of immersion due to the visual impact and realism of the graphics.
    However, in a game, immers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xperiences for the players. Therefore, as a game researcher, the author should look for factors that can enhance game immersion in games, thus driving this study. Zombie games integrate horror, survival, shooting and other elements. There are all sorts of psychological sensations such as excitement and fear when playing the game.
    Besides, there are many strange, dark and mysterious scenes, as well as dangerous and aggressive zombies in the game, which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semantics of terror.
    Therefore, the author set the purpose of the study as exploring whether the fusion of horror elements has an impact on the immersion, which horror element has the greatest impact on player immersion, and which factor has less impact, and then put forward suggestions through interpreting the data. Therefore, the author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based on the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31 horror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zombie games, which were divided into five dimensions by SPS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cluding scene, combat, health, zombie stats, and sound. Secondly, by referring to the immersion questionnaire (C Jennett & AL Cox 2008), the immersion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six dimensions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cluding separation, enjoyment, emotion, control, challenge, and concentration. Thirdly, the validity of the data was reconfirmed by the validation factor analysis of AMOS. Fourthly, based on the path analysis method, it can be known that the statistical model of the impact of terror elements on the user immersion has a good degree of fitting, and it also shows that the horror factors can affect the immersion. If the impact is ranked from top to bottom, zombie attributes have the biggest impact on immersion, followed by combat, scene, health, and sound. It is hoped that game designers can produce games with a better experience by taking this study as the basic reference mater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