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흉통 환자에서의 정서, 자존감 및 삶의 질에 대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Emot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the Patients with Chest Pain)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2.12
7P 미리보기
흉통 환자에서의 정서, 자존감 및 삶의 질에 대한 예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신신체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신신체의학 / 20권 / 2호 / 120 ~ 126페이지
    · 저자명 : 박숙현, 제영묘, 이대수, 장세헌, 최진혁, 이한철

    초록

    연구목적흉통을 호소하여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우울, 불안, 자존감, 그리고 삶의 질 을 조사하고, 전형적 흉통과 비전형적 흉통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방 법39명의 흉통 환자와 4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순환기 내과 전문의의 문진과 심장 전산화 단층촬영, 답차운동부하검사, 관상동맥조영술 등을 시행하여 전형적 흉통과 비전형적 흉통을 감별하였다. 우울, 불안, 자존감, 그리고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BDI(Beck’s Depression scale), STAI(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RSES(Rosenberg Self-esteem Scale), SBQOL(SmithKlein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를 적용하였다.
    결 과심질환의 위험인자는 가족력을 제외하고는 전형적 흉통군, 비전형적 흉통군, 그리고 대조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우울은 대조군에 비해 두 가지 흉통군 모두에 더 높았으나 흉통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불안은 대조군에 비해 두 가지 흉통군 모두에서 더 높았고, 전형적 흉통군에 비해 비전형적 흉통군에서 더 높았다. 자존감과 삶의 질은 대조군과 전형적 흉통군에 비해 비전형적 흉통군에서 더 낮았다.
    결 론흉통환자에서 불안과 우울에 대한 평가와 개입이 필요하며, 특히 비전형적 흉통환자에서는 자존감과 삶의 질 저하에 대한 접근도 병행이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to compare the rate of depression, anxiety, self-esteem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with chest pai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the psychiatric assessment and treatment of the patients with chest pain is emphasized. This study is a preliminary research for a larger scale investigation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Methods:Thirty nine patients with chest pain who visited Cardiovascular Division of Dept. of Internal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fourty normal control group(NC)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ypical chest pain group(TCP, N=19) and atypical chest pain group(ACP, N=20) based on the cause of the pain. The cause was determined by cardiac computed tomography, exercise stress test, coronary angiography, and questionaires by a cardiology specialist. The patients were assessed with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Rosenberg Self-Esteem Scale(RSES) and Korean version of the Smith Klein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KvSBQOL).
    Results:1) When the risk factors of cardiac disease is compared, most of the factors(Hypertension, Diabetes, Hyperlipidemia, Cerebral infarc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two chest pain groups, except for the family history, for which TCP group showed higher risk than ACP group did. 2) As for the self-report questionaires scores, BDI score, which indicates the rate of depression, of both ACP group and TCP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C group in BDI for depression. STAI score, which measures anxiety, was also significantly high in both groups. Especially, STAI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CP group than TCP group. 3) In the aspect of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ACP group scored significantly lower than TCP group and NC group. The scores for TCP group and NC group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Conclusions:The patients with chest pain showed more depression and anxiety than normal control group, regardless of the cause of the pain. However, TCP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ly larger drop i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than ACP group did. This result implies that early psychiatric assessment and treatment is needed for the patients with such chest pain, sinc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ain would lead to lower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신신체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