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네마틱 VR의 현존감과 상호작용성에 대한 고찰 (On Presence and Interactivity within Cinematic V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0.08
38P 미리보기
시네마틱 VR의 현존감과 상호작용성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수록지 정보 : 씨네포럼 / 36호 / 9 ~ 46페이지
    · 저자명 : 장우진

    초록

    이 글은 내러티브가 전개되는 극영화에 적용되는 실사 기반의 360도 영상/사운드의 VR 또는 그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제작한 VR 영화 작품을 기존의 전통적 VR과 구별하여 ‘시네마틱 VR’로 규정하고, VR 게임과의 비교를 통해 여전히 실험과 모색이 진행 중인 시네마틱VR의 특성을 ‘현존감’과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하여 고찰한다.
    현존감은 VR이 추구하는 목표이지만, 그것이 VR을 통해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영화의 역사는 영화 특유의 방식으로 현존감을 강화시켜 왔다. 이 현존감은 게임이 추구해 온 현존감과 구별되는 것이며, 매체에 따른 현존감의 차이는 우열의 판단 대상이 아니다. 대신그것은 다른 방식의 현존감 창출에 대한 근거가 된다. 이 글에서는VR 테크놀로지가 영화로 하여금 새로 현존감을 갖게 한 것이 아니라, 영화가 추구해 왔던 현존감의 지평을 확장시킨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있다는 것과 시네마틱 VR에서 현존감을 고찰할 때 그것이 내러티브정서를 어떻게 강화할 수 있을까라고 질문해야 함을 주장한다.
    한편, 게임학에서 전개되었던 “서사학 대 게임학”의 논쟁을 참고하면서, 시네마틱 VR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문제를 고찰한다. 기존 연구가 1인칭 시점의 활용, 인터랙티브 서사성의 추가, 무매개성의 추구를제시했으나, 이 글에서는 1인칭 시점의 유지가 야기할 수 있는 서술차원의 경직성을 지적하고, 시네마틱 VR의 상호작용성을 인터랙티브서사의 측면으로 제한할 필요가 없음을 주장하며, 무매개성과 하이퍼매개성의 역동적 체계에 대한 탐색과 고찰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fines cinematic VR as a type of VR for a 360- degree live-action film with narrative or the film itself using this VR technology. Cinematic VR is distinguished from traditional VR which is based on a computer graphic generated environment with sensory interactivity. Through comparison with VR games, this paper focuses on presence and interactivity within cinematic VR, which is still in various experiments and challenges.
    Presence is the goal of VR technology. It doesn't just happen only through VR technology. The history of cinema shows that the sense of presence has been strengthened in its way. We need to distinguish presence in films from video games. The difference between presence of both media is not the object of a judgment of superiority. Instead, it is rather the basis for creating a unique sense of presence of each medium. In this paper, I argue that VR technology doesn't make movies present newly. I also insist that when we think about presence in cinematic VR, we need to consider how it can strengthen the dramatic emotions within the narrative.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discusses interactivity within cinematic VR, in reference to the debate of narratology vs. ludology in game studies.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ree things as alternatives to the lack of interactivity within cinematic VR; the consistent use of 1st person perspective view, the implementation of an interactive narrative structure, and non-mediation. This paper points out the narrative rigidity caused by the maintenance of the 1st person perspective, argues not to limit the interactivity of cinematic VR to the interactive narrative, and emphasizes the need for explor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dynamics of non-mediation and hypermedi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