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19 상황 속 대학에서의 사회적 고립감과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의 역할 연구 : 학과소속감과 학업지속의도를 중심으로 (Examining the role of social isolation and parasocial intera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ntext of COVID-19 : Focusing on the sense of departmental belonging and intention to continue educ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1.04
36P 미리보기
코로나19 상황 속 대학에서의 사회적 고립감과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의 역할 연구 : 학과소속감과 학업지속의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5권 / 2호 / 5 ~ 40페이지
    · 저자명 : 이혜선, ZHOU NAN, 조재희

    초록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대학은 캠퍼스 폐쇄나 온라인 학습으로의 전환과 같은 유례없는 변화를 맞이하였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사회적 고립감의 발생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으나, 사회적 고립감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 속 대학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고립감이 대학생과 대학원생에게 발휘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코로나19 상황 속 대학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고립감이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학과소속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온라인 학습을 통해 형성된 교수자를 향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과 학과소속감의 관계를논의하였다. 연구문제와 가설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120명의 답변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상황 속대학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고립감은 학과소속감과 학업지속의도에 부적(-)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사회적고립감이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과소속감은 매개 효과를 발휘하였는데, 학과소속감의 영향력을 통제하였을 때 사회적 고립감의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 상황 속 대학에서 경험하는 사회적고립감은 학과소속감을 통해 학업지속의도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반면, 온라인 학습을 통해 형성된 교수자를 향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은 대학(원)생의 학과소속감에 정적(+)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사회적고립감과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하지않았으므로, 두 변인은 학과소속감에 독립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선행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상황 속 대학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고립감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으며, 온라인 학습을 통해 형성된 교수자를 향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은 대학(원)생의 학과소속감을 높이는 또 다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e universities in Korea have experienced unprecedented and radical changes, such as campus closure and expansion of online-class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any university students have experienced social isolation and a lack of social interactions on campu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thoroughly analyzing the potential effects of social isolation on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is present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potential negative impact of social isolation on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VID-19 context. Particularly, this research analyzed how social isolation affected university students’ sesnses of departmental belonging and intentions of education continuance.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parasocial interaction with preferred instructors on university students as they have experienced interactions with those instructors throug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online classes. The main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included three major paths corresponding to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The first path involves the negative effects of social isolation on departmental belonging and intention to continue education. The second path describes the mediation effect of departmental belong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education. The third path regards the positive effect of parasocial interaction with preferred instructors on students’ belonging to the department. The study collected self-report online surveys from 120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Data analysis found that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continue educ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ocial isolation. The mediation effect of belonging to the departmen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education. However, social isolation's direct effect was not significant when the effect of belonging to the department was controlled for.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effects of social isolation possibly exerted influence on intention to continue education by lowering one’s sense of departmental belonging. On the other hand, university students’ belongingness to the department increased as they had higher levels of parasocial interactions with preferred instructors. This present research proposed that parasocial interactions with preferred instructors and social isolation would be variables that could independently affect students’ belongingness to their department, considering the in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m. The study’s main results indicate that university students’ belongingness to their department and intention to continue education were negatively influenced by social isolation in the COVID-19 context. This implies that universities should take more efforts to reduce university students' social isolation. It was also meaningful that parasocial interactions through online classes could be an effective way of increasing students’ sense of belonging to their department.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one’s sense of departmental belonging, where students perceive themselves as valuable and suitable for the department organization, is a crucial factor in continuing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