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행간(白行簡) 소설에 보이는 ‘문’과 ‘담’의 서사 기능 (Narrative Function of the Door and Wall in the Short Stories by Bai-Xingjia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3.05
18P 미리보기
백행간(白行簡) 소설에 보이는 ‘문’과 ‘담’의 서사 기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50호 / 287 ~ 304페이지
    · 저자명 : 정광훈

    초록

    중국 당대(唐代) 백행간(白行簡)의 소설은 당시 문인들뿐 아니라 민간에서도 크게 유행하여 후대에 여러 장르로 재창작되거나 각색되곤 했다. 특히 그의 대표 소설 「이와전」은 작품 자체의 흥미로운 줄거리와 뛰어난 구성 뿐 아니라 작가가 곳곳에 심어 놓은 서사 장치들로 인해 평면의 소설을 넘어 입체적인 극으로 각색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그 중 ‘문’과 ‘담’이라는 공간 구성요소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이와전」에 숨어 있는 서사 장치를 살펴보았다.
    들어가는 말에서는 ‘문’과 ‘담’이라는 건축 요소가 서사에서 어떤 작용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백행간의 「이와전」과 「삼몽기」에서도 바로 ‘문’과 ‘담’의 서사 작용을 찾을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한다.
    본문에서는 먼저 「이와전」 속 ‘문’을 ‘한 쪽만 열린(혹은 닫힌) 문’, ‘닫혀 있는 문’으로 나누어 각각의 서사 기능을 살펴보고, 아울러 동문과 북문이라는 문의 방향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도 함께 고찰한다. 한 쪽만 열린 문과 닫혀 있는 문은 모두 만남과 헤어짐의 의미를 내포한다. 특히 한 쪽만 열린 문은 ‘엿보기’라는 시각적 행위를 불러일으키고 이것은 곧 만남의 계기로 작용한다. 「이와전」에서는 문의 상태가 뒤이어 나오는 내용과 일관되게 이어지며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그리고 어느 방향의 문을 지나는지에 따라 뒤에 이어지는 내용도 달라진다. 이는 중국에서의 방향 개념을 충실히 따른 결과이기도 하다. 다음으로는 「삼몽기」에 보이는 ‘담’의 서사 작용에 대해 논한다. 허물어졌거나 낮은 담은 한 쪽만 열린 문과 마찬가지로 ‘엿보기’가 가능한 공간의 요소이다. 백행간은 이러한 문과 담의 특성을 잘 알고 자신의 작품에 의도적으로 이러한 서사 장치를 사용한 것이다.
    나오는 말에서는 「이와전」에 나오는 시각적, 청각적 장치가 후대에 연극으로 각색될 수 있는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으며, 희곡이나 연극으로 발전된 중국 고대의 단편소설을 이처럼 서사 장치의 시각으로 분석해볼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Though Li Wa zhuan by T'ang writer Bai Xing-jian itself does not have direct relations with the door, in the story we can see many kinds of doors such as castle gate, main entrance, door leaves etc. Of course, the doors often appear in the other Chuan qi stories too. But several doors of Li Wa zhuan have more definite narrative functions than the others. The origin of an event begins with the door, and at the turning point of the event, the door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A half-opened door is used as a device by which one man steal a glance at the other. A closed door makes the man who knocked it enter upon a new life. A tight locked door, actually, blocks the contact with inside more hard than the wall. The narrative functions of the door reflect on these virtual functions. It seems that the writer Bai Xing-jian used these functions in his story very adequately. In San meng ji, another story of Bai Xing-jian, we can also see the similar narrative method. San meng ji consists of three anecdotes which talk about an indefinite boundary of dream and reality. The first anecdote describes the reality of Liu You-qiu and the dream of his wife. In this anecdote we can find the same narrative function as a half-opened door. But the device is not a door but a wall. Because it was a low wall with holes of a temple, Liu could catch sight of all the situations in that place. The incomplete wall is a similar image with one leaf-opened door ab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