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麗末鮮初 朝・明간 女眞 귀속 경쟁과 그 意義 (The competition of Where Jurchen Has to Belong between Chosun and Ming Dynasty from the end of Koryo to the early of Chosun)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2.08
44P 미리보기
麗末鮮初 朝・明간 女眞 귀속 경쟁과 그 意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42호 / 37 ~ 80페이지
    · 저자명 : 유재춘

    초록

    고려말부터 조선초기에 이르는 시기의 동아시아 정세는 한 가지 대세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울 정도로 여러 가지 상황변수가 존재하고 있었다. 물론 신흥 제국 明이 강력한 새로운 왕조로 등장하였다는 것에는 이의가 없겠지만 明이 요동지역을 넘어 과거 元나라 영역을 그대로 확보할 수 있을 것인지, 북원세력을 완전히 궤멸시킬 수 있을 것인지는 쉽게 단정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고려(조선)는 신흥강대국 明의 군사적 압박을 우려하였기 때문에 명의 요동진출을 달가와 하지 않았고, 내심 북원과의 연대나 여진을 통한 견제를 모색하기도 하였다. 반대로 明은 북원과 고려(조선)의 연대를 강력히 저지하고, 마찬가지로 여진을 끌여들여 조선을 견제하면서 변방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명나라의 성급한 고려-북원 차단을 위한 철령위 설치 선포는 고려의 명에 대한 경계심을 대결적 적개심으로 바꾸어 놓게 되었고 양국은 전쟁 일보직전까지 갔다. 당시 명나라의 정책은 성급한 것이었지만, 이는 그만큼 원・명교체기에 주인이 불분명한 만주지역으로 진출하려는 고려를 견제할 필요성이 절박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이성계의 회군으로 전쟁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영토문제는 고려(조선)와 명의 중요한 국제문제가 되었다.
    하지만 양국 모두 대결적 무력 사용을 자제하는 속에서 서로를 견제하며 장차 만주일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은 물론 변경을 안정화 시키려면 여진을 자국의 藩籬로 끌어들이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였다. 특히 조선은 신왕조 개국 후 완전한 해결을 보지 못한 동북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공고히 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태종 4년(1404) 명에 사신을 보내 동북지역 10處 여진인에 대한 관할권 인정을 요구하여 관철시키고 있다.
    朝明 양국은 여진을 자국으로 끌어들이려는 귀속 경쟁에서 우위에 서기 위해 갖가지 사유를 명분화하였으며, 회유는 물론 강력한 군사작전을 펴기도 하였다. 초기에 명나라는 여진에 대한 핵심적인 정보의 부족과 조선에 대한 군사적 긴장을 회피하기 위해 조선에게 10처 여진인에 대한 관할권을 승인하였지만 명나라는 뒤늦게 여진 귀속 경쟁에 나서면서 조선과 갈등을 빚게 되었다.’ 명나라는 이미 조선 관할이 되어있던 여진을 회유, 압박하여 명나라 衛所制에 편입되도록 함으로써 조선과 분리시키는 노력을 기울였다.
    조・명간 여진 초무 경쟁의 대표적 사례는 童猛哥帖木兒 초무를 둘러싼 갈등이다. 10처 여진인 중 童猛哥帖木兒 집단은 여진의 핵심세력 중 하나였고, 명나라가 이미 조선으로부터 관직을 받은 童猛哥帖木兒를 회유하기 위해 많은 공을 들인 것은 바로 그 때문이었다. 童猛哥帖木兒가 명나라에 들어가 관직을 수여받음으로써 조선의 10처 인민 영속권은 심각한 위협을 받게 되었으나 그가 일시적으로 鳳州(즉 開元을 말함)로 이주함으로써 직접적인 갈등은 잠복하였다. 이후에도 童猛哥帖木兒를 둘러싼 조선과 명나라의 갈등과 경쟁은 계속되었다.
    여진 귀속을 둘러싼 朝・明간 각축은 결과적으로는 어느 쪽에서도 느슨하게 관할되는 요인이 되었고, 이로 말미암아 북방의 광활한 여진 잡거지역이 조・명 양국에게는 일종의 완충지대가 되게 되었다. 또 나아가서 그로부터 1백여년 후에는 여진세력이 성장할 수 있었던 먼 원인이 되었다.
    조선초기 10처 여진인에 대한 조선의 관할권 확보는 특히 조선의 동북지역 영토 확보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조선은 초기에 여진과 친밀관계, 회유를 통해 안정적으로 변경지역을 관리하였으나 명나라와 여진 귀속 경쟁으로 10처 지역에 대한 지배권이 위협받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이르자, 조선은 강력한 군사활동에 의해 이에 대한 항구적인 확보를 추구하였다. 세종대 4군 6진에서의 많은 군사활동에 이어 郡, 鎭을 설치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고려말부터 이어져 온 10처 여진인 관할권 확보와 직결되어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두만강 이북지역의 공험진 지역까지를 우리 영역으로 기록하게 된 것은 바로 그 지역이 고려말~조선초에 명나라와의 협상 끝에 인정받은 10처 지역이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East Asia situation during the period from the end of Koryo to the early of Chosun had a variety of variables which cannot be explained with one theory of general trend. Under such situation, Koryo (or Chosun) worried the military prssure of Ming, which was a emerging powerful nation at that time. Therefore, the conquest of Liaodong by Ming was a threat to Koryo (or Chosun) and searched the way against the expansion of Ming by the solidarity with Northen Yuan or with Jurchen. On the contrary, Ming intended to strongly interrupt the solidarity between Northern Yuan and Koryo (or Chosun) and to search for the way to stable the frontier keeping in check of Chosun.
    Declaration of installation of Cheolryeongwi for impatient blocking the solidarity between Koryo and Northern Yuan by Ming has changed the wariness of Koryo to Ming into hostility and has changed the situation of both countries into the situation very before breaking out a war. At that time, though Ming's policy was so impatient, this means that the necessity to check Koryo which intended to march into Manchurian area where its occupant is unclear during shifting period from Yuan to Ming. Due to the troop withdrawal of Seong-gye Lee, the war was not broken out but the territorial dispute became a significant international problem between Koryo (or Chosun) and Ming.
    However, in order to affect on future Manchurian areas checking each other under the situation that both countries refrain from using military forces and to stable the changes of Dynasty, it is urgently needed to draw Jurchen into their own boundary. In particular, Chosun had a need to strengthen the supremacy to Northeastern area where the dispute to this area was not clearly solved after founding a new kingdom. Therefore, at the fourth year of Taejong's reign (1404), Chosun dispatched an envoy to Ming and required the approval of governance to Jurchens in 10 areas of Northeastern region.
    Both countries (Chosun & Ming) justified various reasons in order to become a dominant position in the dispute of deciding the belonging of Jurchen. They sometimes conciliated and sometimes set a strong military operation. At the early time, Ming approved the governance to Jurchens in 10 areas of Northeastern region to Chosun because of insufficiency of key information and in order to avoid the military tension. But, Ming created the conflict with Chosun by revealing late the desire to govern Jurchen. Ming strived to separate Jurchen from Chosun by making Jurchen to be included to Weisuozhi (衛所制) of Ming with conciliation and pressure to Jurchen.
    Representative case showing the competition for conciliating the chief of Jurchens between Chosun and Ming was the conflict for Möngke Temür (童猛哥帖木兒). The group of Möngke Temür of Jurchens in 10 areas was one of key forces in Jurchen and with this reason, Ming strived to conciliate Möngke Temür who was designated to government post of Chosun. As Möngke Temür was designated to government post of Ming, the governance to Jurchens in 10 areas by Chosun became seriously threatened.
    Securing the governance of Chosun to Jurchens in 10 areas during the early of Chosun Dynasty became a highly significant opportunity related to securing the territories in Northeastern region. Chosun governed the changed areas stably through friendliness and conciliation to Jurchen during the early of Chosun Dynasty but the governance to 10 areas was threatened by the belonging competition with Ming. As such situation continued, Chosun intended to secure 10 areas permanantly by strong military activities. Installing Guns & Jins after many military activities at four guns & six Jins during Sejong's reign was connected to secure the governance right to Jurchens in 10 areas descended from the end of Koryo. Because the regions to Gongheomjin area in Northen region of Duman river were 10 areas approved from Ming as a result of negotiation with Ming during the period from the end of Koryo to the early Chosun, [Sejongsilrok] Jiriji recorded such regions as those of Chos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