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재와 공간능력간의 탐색적 고찰 : STEM 분야를 중심으로 (An Analytic Stud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ifted Children and Spatial Ability: Focusing on the STEM Field)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2.10
21P 미리보기
영재와 공간능력간의 탐색적 고찰 : STEM 분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안암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육학연구 / 18권 / 3호 / 135 ~ 155페이지
    · 저자명 : 정미경, 윤소윤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간능력의 정의 및 구성요인을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능력의 위계모형을 제시하며, 최근 들어 영재의 판별도구로써 주목받고 있는 공간능력에 대한 쟁점사항들을 중심으로 영재와 공간능력간의 관계, 영재 판별과 공간능력 검사간의 관계를 논의하여 교육적 함의를 이끌어 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지능연구의 역사 속에서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으나 언어와 수학적 지능과는 또 다른 측면의 지적 능력으로 볼 수 있는 공간능력이란 사물에 대한 공간관계를 이해하고 기억하는 능력, 공간에서 이미지를 조작하는 능력, 복잡한 물리적 체계가 어떻게 부분으로 분리되는지를 아는 능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둘째, 공간능력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Carroll(1993)의 요인분석을 기반으로 Burton과 Fogarty (2003)의 시각적 이미지 요소에 대한 연구, Tartre(1990)의 공간 시각화 모델, Ho와 Eastman (2005)의 2차원과 3차원 회전능력 요인 모델을 토대로 공간능력 위계모형(hierarchical model)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공간능력은 공간 시각화, 공간 관계, 완결 속도, 완결 융통성, 지각 속도, 시각적 형상화의 6개 구성요인으로 이루어진 위계모형으로 가정하였다. 셋째, 공간능력은 영재들의 성취도와 업적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다. 특히, 공간능력 검사는 STEM 영역이나 예술영재와 같은 특정 분야에서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영재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되어질 수 있다. 넷째, 공간능력은 언어와 수리 능력과는 차별화된 비언어 능력으로 문화, 언어, 사회경제적지위에 의한 편견을 배제하고 영재를 판별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iews research on gifted students’ spatial ability and the use of spatial ability tests to identify gifted children. To do this, we describe the definition of spatial ability and spatial factors based on a hypothetical factor structure model of spatial intellectual ability. Several points were then made to link this research to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First, even though spatial ability has been defined in various ways in the history of intelligence research, we conceptualized it as a general term that refers to an individual’s mental ability to visualize, transform, and manipulate nonverbal information, such as symbols, figures, and two-and three-dimensional objects based on visual stimuli. Second, based on Carroll’s factor analysis, we generated a hypothetical factor structure model of spatial intellectual ability as a compilation of substructures of spatial factors identified by Burton and Fogarty’s(2003) visual imagery factor study, Tartre’s(1990) substructure model of spatial visualization, and Ho and Eastman’s(2006) substructure model of mental rotation. According to the model, we considered six spatial factors and spatial sub-factors of each spatial factor. Third, we determined that spatial ability can be a good predictor of students’ performance and achievement, particularly in the talent domains, such as science, technology, mathematics, and engineering(STEM) and visual arts. Fourth, as a nonverbal ability, spatial ability can serve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of gifted identification free from cultural, linguistic, and socioeconomic status biases. Based on the above implications, we presented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