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팀의 특성과 팀 효능감 간 관계에 대한 TMS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Role of T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Characteristic and Team Efficacy)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7.02
21P 미리보기
팀의 특성과 팀 효능감 간 관계에 대한 TMS의 매개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학연구 / 46권 / 1호 / 213 ~ 233페이지
    · 저자명 : 오원경

    초록

    본 연구는 팀의 특성과 팀 효능간 관계에 대한 TMS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팀의 과업 특성을 나타내는 과업 상호의존성, 팀 구성원들의 기질적 특성을 나타내는 학습 목표지향성 그리고 관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팀 응집성이 TMS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TMS가 팀이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구성원들의 믿음을 나타내는 팀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팀의 특성과 팀 효능감 사이의 관계를 TMS가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10월부터 11월까지 약 2달에 걸쳐 설문지 응답법을 통해 이루어졌고, 최종적으로 49개 팀, 237명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여 최종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업상호의존성, 학습 목표지향성, 팀 응집성은 각각 TMS에 정적인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다. 둘째, TMS는 팀 효능감에 정적인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다. 셋째, TMS는 과업상호의존성, 학습 목표지향성 및 팀 응집성과 팀 효능감 간 관계에 있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밝혔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T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characteristics and team efficacy. Wegner(1987) defined that “TMS is the way that groups process and structure information and as the shared division of cognitive labor regarding group members' encoding, storing, and retrieving of information.” Thus, TMS is a team cognitive process (Kozlowski and Ilgen, 2006), capturing team members' combining of individuals' distributed knowledge and utilizing each other's expertise. It consist of three aspects: specialization, credibility, and coordination (Moreland, 1999).
    In work settings, TMS affected by team environments, yet team characteristics such as task interdependence, team members'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team cohesion have not received attention. Therefore, we predict that task interdepdence, team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team cohesion will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MS. Also, we expect TMS as antecedents of team efficacy. Furthermore, we propose that TMS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m characteristics and team efficacy.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from November, 2013 until December, 2013. To test these hypothesis, we collected survey-based data from 237 members and 49 teams. The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paper are task interdependence,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team cohesion, the mediation variable is TMS,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team efficacy.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ask interdepend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team's TMS. Furthermore, team members'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team cohes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team's T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m characteristics affect TMS. Second, TMS was linked to team efficacy. Third, TMS mediated the team characteristics - team efficacy links. Thes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eam research.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first concerns the validity of our measures. Our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elf-reported data, which may raise concerns regarding common method bias. Future researchers may use objective measures such as performance as dependent variable. Second, because of the use of cross-sectional data, conclusions on causal order cannot be drawn. Our study implies that team characteristics precedes TMS. However, it is possibl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characteristics and TMS is reciprocal or that it is the reverse of what we have theorized. Future researchers may test causal effects by using longitudinal research designs. The use of longitudinal research designs can also help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TMS over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