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진 도량형의 발전 변화-郴州 晉簡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Weights and Measures in Western Jin Dynasty: Wooden Tablets from the Western Jin Dynasty Unearthed in Chenzhou as the Center)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4.06
23P 미리보기
서진 도량형의 발전 변화-郴州 晉簡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32호 / 193 ~ 215페이지
    · 저자명 : 戴 衛 紅

    초록

    西晉 시기는 도량형에 중요한 변화가 일어난 시기이며 郴州 蘇仙橋 晉簡은 서진 시기의 도량형 실태를깊이 탐구할 수 있는 1차자료이다. 晉武帝 泰始 10년(274)에 中書監 荀勖는 古尺, 즉 晉代 전에 정해진 尺에의해 銅律呂를 만들어 운율을 조절하였으나 민간에 보급되지 않았으며 杜夔의 魏尺, 즉 晉代의 尺이 그대로통용되었다. 東晉 시기의 尺은 晉代 전에 사용된 尺보다 약 1分2釐(1釐는 0.3㎜) 더 길어 晉代 전의 尺 길이에 변화되었다. 晉簡에 보이는 길이의 단위는 尺, 丈, 里, 步이고 그 기본 단위는 尺이다. 포목 단위는 匹, 寸, 分이 사용되었고, 토지 면적의 단위는 한나라의 전통 습관을 이어 頃, 畝, 步가 사용되었다. 晉簡에 보이는벼와 쌀의 용량 단위는 斗, 升, 合, 勺, 撮, 捎, 圭, 來가 있는데 그 중의 捎, 圭, 來는 『漢書』 「律曆志』에 보이지않는다. 郴州 晉簡은 “十圭를 捎(秒·抄·杪)로 하고, 十捎(秒·抄·杪)를 撮로 한다”와 같은 進法이 확인되는데『隋書』 「律曆志」에 인용된 『孫子算經』의 진법 순서와 유사하다. 晉簡에는 돼지와 양의 무게를 재는 晉秤, 은과 같은 귀금속을 재는 吳秤이 등장했는데, 이 양자는 각각 대저울[杆秤]과 천평[天平秤]에 대응될 것이다.
    晉秤은 斤을 무게 단위로 하고, 吳秤의 무게 단위에는 兩, 銖 외에 銖의 아랫단위인 도 있다. 이는 『漢書』「律曆志」 應劭注에 보이는 “十黍을 一銖로 하고, 六銖을 一分으로 하며, 四分이 一兩으로 된다’와 같은 단위와는 다르다. 사전을 찾아보면은 없고 錖이 보이는데, 전국 초나라 시기 이래, 沅陵 지역의 황금 계량 단위의 발달 상황과 桂陽郡이 銀 산출 지역이라는 점을 고려해 보면은 桂陽郡에서 비교적 오랜 역사를 가진 전통 귀금속 계량 단위일 가능성이 있다. 劉宋 시기의 白銀을 재는 南秤은 晉簡에 보이는 吳秤과 성격이유사하여 吳秤을 계승한 것으로 추정한다.

    영어초록

    The Western Jin Dynasty was a period of significant changes in weights and measures. The Wooden Tablets from the Western Jin Dynasty Unearthed in Suxianqiao of Chenzhou provide us with first-hand materials to deeply explore the actual state of weights and measures in Western Jin. The Wooden Tab lets relate to the length units of chi, zhang, li, step, its basic unit is “chi”; The units of cloth are still piec es, inches and minutes; The units of land volume still follow the “hectares”, “mu” and “steps” since the Han Dynasty. The capacity units for weighing rice include Hu, Dou, Sheng, He, Spoon, Cuo, Shao, Gui, and Lai, among which “Spoon, Shao and Lai” are not recorded in historical records of previous dy nasties. In the Wooden Tablets from the Western Jin Dynasty, the “Jin scale” was used to weigh pigs and sheep, while the “Wu scale” to weigh precious metals such as silver. There may be a distinction be tween pole scales and balance scales between the two; Jin scale uses “jin” as the weight unit; The weigh ing unit of Wu scale not only includes “Liang” and “Zhu”, but also includes “ ” that is not recorded in historical records.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gold weighing in the Yuanling area since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 fact that Guiyang County is a silver producing area, the author suspects that it may be a traditional precious metal weighing unit with a relatively long history of use in Guiyang Coun ty; The Southern Scale used by Liu Song to weigh silver is similar in nature to the term “Wu Scale” in the Wooden Tablets from the Western Jin Dynasty,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it has been continued by the “Wu Sca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