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간철도 노선명과 역명 영역의 다중스케일적 분석 (Multi-scale Analysis of Interregional Railway Line Names and Station Namesʼ Territor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3.12
25P 미리보기
지역간철도 노선명과 역명 영역의 다중스케일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기전문화연구 / 44권 / 2호 / 3 ~ 27페이지
    · 저자명 : 김지영

    초록

    국토교통부의 4차 철도망 구축 계획이 발표됨에 따라 기존 노선명과 역명의 성격을 재정립하고 향후 제정 방안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지역간철도의 노선명과 역명은 최대 1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인공지명으로서 그 지역의 문화적 상징과 질서가 담겨 있으며, 공간 영역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특히 본 논문은 지역간철도 노선명과 역명이 지닌 영역에 주목하고, 노선명과 역명을 「철도노선 및 역의 명칭 관리지침」 과 다중스케일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지역간철도’라는 용어에서, ‘지역’ 스케일의 범위를 탐색하기 위해노선명과 노선의 영역, 실제 길이 등을 분석한 결과 노선명과, 그 영역, 실제길이가 서로 부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많은 수의 역명은 행정구역체계에 따라 역명의 스케일이 드러나고 있었다. 그 이외의 다른 유형의 역명은 스케일 하강(scaling down)과 스케일 상승(scaling up)이라는 전략으로 분석하였다. 스케일 하강 전략은 공공기관과 공공시설 및 대학이름을 역명으로선택한 경우이며, 스케일 상승은 지역의 대표 명소를 역명으로 선택한 경우이다. 한편, 역명을 둘러싼 지명의 경합이 발생하면서 여러 스케일의 지명이결합한 역명이 제정되고 있다. 이 경우는 두 개 행정구역이 결합한 경우와 지명과 기관, 명소가 결합한 경우로 나뉜다. 그리고 지명의 역사성, 즉, ‘과거’ 라는 시간의 스케일을 통해, ‘지침’의 기준으로 분류할 수 없었던 역명들을해석할 수 있었다. 철도 노선의 연장과 지선의 건설, 폐선, 직선화 등 철도 노선 스케일의 확대와 축소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철도 노선명과 역명이 갖고 있는 영역도 그 운명을 같이 하게 되었다. 이에 노선명과 역명이 갖고 있는영역을 반영할 수 있는 다중스케일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는 동시에 지명으로서 정체성까지도 담을 수 있는 제정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이다.

    영어초록

    With the announcement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plan to build the 4th Railway Network Construction Plan, it is time to redefine the nature of existing railway line names and station names and consider how to enact them in the future. The line names and station names of interregional railroads are artificial names with a history of up to 100 years or more, containing the cultural symbols and order of the region, and are closely related to the spatial territory.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the territories of interregional line names and station names, and analyzes the line names and station names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Railway Line and Station Names" and multi-scale methods. In order to explore the scope of the "regional" scale in the term "interregional railway", I analyzed the line name, territory of the line, and actual length, and found that the line name, area, and actual length were inconsistent with each other. A large number of station names, the scale of the station name was revealed by the administrative division system. Other types of station names were analyzed using two strategies: scaling down and scaling up. The scaling down strategy is when the names of public institutions, public facilities, and universities are selected as station names, while the scaling up strategy is when natur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at symbolize the region are selected as station names. On the other hand, the competition for station names has led to the creation of station names that combine place names at multiple scales. There are two types of place names: those that combine two administrative regions and those that combine a place name and an institutional landmark. The historicity of place names, i.e. the time scale of the "past," allows for the interpretation of station names that could not be categorized by "guideline" standards. In the process of repeatedly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scale of railway lines, such as extending railway lines and building branches, abandoning lines, and straightening lines, the geographical areas of railway line names and station names shared the same fate. Therefore, it is time to consider a legislation that uses a multi-scale approach to reflect the territories of line names and station names, while also capturing their identity as place na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후